반응형

[나고야 여행기(22년 12월) - 도쿠가와엔(徳川園), 히가시야마 스카이 타워(나고야 야경 명소), 마나카(manaca) 카드]

이래저래 연말/연초에 약속도 많고,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있지만 기억이 가물가물해지기 전에 나고야 여행 후기를 업로드해야겠다.

22년 12월에 나고야 여행을 갔다왔는데, 볼거리가 많은 도시는 아닌 느낌이었다.

그래도 가본 여행지 중 좋았던 곳 위주로 포스팅을 남기고자 한다.

나고야 중심지에서 버스로 한 15-20분 정도에 위치한 도쿠가와엔(徳川園).

봄에는 벚꽃으로 유명하다고 하는데, 쌀쌀한 겨울이었는데도 아직 단풍이 남아있어 경치가 좋았다(엄청 좋은 정도는 아니지만 겨울에 단풍을 봐서 반가운 정도?)

도쿠가와엔(徳川園) 입구
도쿠가와엔(徳川園)
도쿠가와엔(徳川園) 단풍

 

도쿠가와엔(徳川園) 호수
나고야 도쿠가와엔

도쿠가와엔 중심에 호수가 위치해있는데, 사람이 없던 평일이라 고즈넉한게 좋았다.

봄이나 가을에 오면 더 푸릇푸릇하고 이쁠 것 같다. 장소 자체는 넓지 않아서 30분 정도면 둘러볼 수 있었다.

날이 쌀쌀해 나는 일찍 자리를 떴는데, 날이 좋다면 벤치에 앉아서 해바라기를 해도 좋을 듯 하다.

나고야의 야경 명소로는 히가시야마 스카이 타워(Higashiyama sky tower, 東山スカイタワー)가 있다.

나고야역 기준으로 히가시야먀선(노란색)을 타고 호시가오카역에 내려서 25-30분? 정도 걸어가면 히가시야마 스카이 타워(Higashiyama sky tower)에 도착할 수 있다.

교통은 나름 편리한 편인데, 히가시야마 스카이 타워가 역으로부터 거리가 좀 있기에 차가 있다면 베스트이긴 하다..

내가 방문했던 12월은 연말이라 가는 길에 볼거리가 있어서 역에서부터 타워까지 그리 오래 걸린 느낌은 아니었다.

히가시야마 스카이 타워(Higashiyama sky tower) 가는길
히가시야마 스카이 타워(Higashiyama sky tower) 가는길

가는 길에 크리스마스 트리도 장식되어있었고, 조그만 집모양 종이 램프도 길을 밝혀주고 있었다.

도착한 히가시야마 스카이 타워(Higashiyama sky tower)는 크리스마스 느낌으로 외관을 꾸며놓았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5층으로 올라가면 사진과 같이 나고야 야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데, 어느 도시에서의 야경이 그렇듯이 아름다웠다. 충분히 시간내서 올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쪽에서 보이는 모습은 아래와 같은데, 연인들이 오기 좋은 장소이다. 나고야 자체에 사람이 많지 않아서 관광명소?임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없어 좋았다.

나고야에 방문했는데 저녁에 뭐할지 고민된다면 히가시야마 스카이 타워를 한번 방문해볼만하다.

참고로 나고야에서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마나카(manaca)카드를 이용했다.

마나카카드

지하철 매표 기기에서 구매할 수 있고, 한국 티머니카드처럼 보증금 내고 충전해서 사용하고 다니면 된다. 버스/지하철 겸용이며, 일본 대중교통은 가격이 매우 비싸 금방 몇만원 소모되니 넉넉히 충전해서 돌아다니면 좋을 듯 하다.

글을 적다보니 막상 또 가고싶다.

다음엔 일본어 배워서 가야지..

끝.

728x90
반응형
반응형

2022년 12월 4박 5일 동안 나고야 여행을 다녀왔다!

나고야에는 관광지가 그다지 많지 않은데, 그중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것 중 하나가 ‘나고야항 수족관’이다!

지도 및 노선도에 보라색으로 표시되어있는 ‘메이코선의’ 나고야코(나고야항) 역에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가면 나고야항 수족관이 보인다.

메이코선의 나고야코역
메이코선 노선도

(왼쪽 하단에 위치한 노선이 메이코선이고, 종착역이 나고야항역이라 대중교통 이용이 어렵지 않다)

한화/롯데 등 이전에 방문했던 국내 아쿠아리움과 비교해볼 때, 나고야항 수족관은 무척!! 만족스러웠다.

가격도 저렴하고, 볼 수 있는 바다 동물도 훨씬 많은 느낌이었다.

특히 나고야항 수족관은 돌고래 특화된 수족관인 듯 했는데, 벨루가, 범고래, 돌고래 등 다양한 종류의 돌고래?들이 있었고, 그 수 또한 많았다.

(한편으로는 바다에 비해 한없이 비좁은 수족관에 갇혀있는 돌고래들을 생각하면 안쓰럽기도 했다..)

또한 한국에서는 볼 수 없는 돌고래쇼도 관람할 수 있어 좋았다.

돌고래쇼 시간표는 아래와 같다.

돌고래쇼 시간표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영문 시간표도 확인할 수 있다.

돌고래쇼는 15-20분 정도 진행되는데, 야외 공연장이어서 겨울에는 좀 추웠다 ㅠㅜ

파란 물 속을 헤엄치는 돌고래를 보고있으면 마음이 편해지고, 기분이 좋아진다.

고민이 많거나, 지칠 때 오면 힐링할 수 있을 것 같다.

 

돌고래뿐 아니라 펭귄, 바다거북 등 다양한 바다 동물들도 존재한다.

다음번에 또 방문하고 싶고, 나고야에 여행오면 꼭 추천하는 장소이다.

끝!

(이하 돌고래 및 동물 영상)

 

 

728x90
반응형
반응형

23년 2월 CFA level 3 CBT 시험을 치르고 왔다.

시험을 치른 장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303(논현동) TGL경복빌딩 4F 402호'에 위치한 SRTC.

출처: SRTC

CFA level 3 CBT 시험은 오전 2시간 12분/ 쉬는시간 30분/ 오후 2시간 12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중간 쉬는시간 30분을 쉬는 것은 자기 마음이다. 5분만 쉬고 응시해도 된다.

쉬는시간 동안에는 밖에 돌아다녀도 되서, 오전 시험을 마치고 초콜릿 먹고 산책 좀 하고 오후 시험에 다시 응시했다.

 

봉은사로 SRTC에서는 CFA level 3 CBT에 종이 2장과 연필 2자루를 지급한다. 보드마카와 판넬? 같은 것을 지급했던 다른 시험장에 비해서는 문제풀기 수월한 편이라 볼 수 있다.

 

시험장 내부에 특이사항은 없고, 휴식할만한 공간은 충분히 있어서, 쉬는 시간에 알아서 빈 공간 찾아 쉬면 될 듯 하다.

 

CFA level 3 CBT의 난이도는 soso한 편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essay가 시간을 많이 잡아먹으니, 시간 안배를 좀더 잘했으면 좋았었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있다. 오후 시험에는 오전 시험 대비 시간 안배를 잘해서 잘 풀었다는 느낌이 있었다.

 

CFA level 3의 커트라인(Minimum Passing Score)은 60% 수준이라고 한다. essay 문제가 있어서 그런지 level1,2 대비 낮은 편이다.

시험으로부터 2개월 정도 후인 4월 중순 이후에 성적이 나온다고 하는데,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

이제 이별하자 CFA야~~

 

끝.

728x90
반응형
반응형

최근 아래와 같은 종합상사 관련 기사를 보았다.

종합상사가 재도약을 위해 새로이 변화를 꾀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3080042390340109285

 

'꿈의 직장' 종합상사의 재도약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종합상사라 하면 사실 무엇을 하는 곳인지 사람들이 모르는 경우가 많고, 안다고 하더라도 드라마 '미생'에서 다뤄지듯 무역업을 하는 정도로 생각한다.

필자는 '19년 취업 준비 당시, 국내 종합상사 중 2곳에 지원하여, 포스코인터내셔널과 LG상사(현 LX인터내셔널) 1차 면접까지 합격한 바 있다.

(LG상사는 최종면접에서 탈락했고, 포스코인터는 이미 다른 회사에 합격한 상황이었기에 다른 지원자의 기회를 박탈하지 않기 위해 최종면접에 응시하지 않았다)

종합상사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무역(트레이딩)'부문이다. 제품의 공급자와 수요자를 매칭시켜주고, 제품의 운송 등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간에서 마진을 취하는 것이 전통적인 종합상사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전에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이 쉽지 않았고, 언어적 장벽/현지 네트워크 구축 등에 어려움을 느끼는 기업들이 많았기에, 종합상사의 역할이 부각되었으나, 오늘날 대기업의 해외 진출이 보편화되어있고, 해외영업팀이 내재화되어있기에 종합상사의 가치는 이전 대비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무역(트레이딩) 부문의 마진율은 과거 대비 큰폭으로 줄어든 상황이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2010년 이후 국내 종합상사들은 적극적으로 투자/신사업 부문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1990년도 후반부터 트레이딩 외적으로 사업 부문을 확대해나갔던 일본 종합상사들의 선례를 따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 종합상사들은 기업 인수 및 투자 등을 통해 자원, 편의점, 의약품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했으며, 국내 종합상사가 나아가야할 방향 등을 공부하는 데 있어 일본 종합상사는 좋은 귀감이 된다.

국내 종합상사들은 주로 자원, 식량, 에너지 등의 영역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해나가고 있으며, 이미 전통 비즈니스 모델인 무역(트레이딩) 외의 영역에서 매출 및 이익을 실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포스코인터의 경우 아직 무역 부문의 매출이 전체 매출액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이익단에서는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하이다.

출처: 포스코인터내셔널
출처: DART

요컨대, 오늘날 종합상사는 '종합투자회사'로 변모해있다.

이러한 종합상사의 변화를 바탕으로 판단해볼 때, 종합상사 지원자에게 요구되는/가치있게 평가되는 역량은 무엇일까?

나는 '금융/투자'에 대한 이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이 내가 국내 종합상사에 지원했을 당시 유리하게 작용했던 것 같다.

종합상사 취업을 준비하며 느꼈던 것 중 하나가 '외국어 잘하는 애들만 지원하네'였다.

사실 종합상사라는 회사가 있는지 잘 모르는 대학생이 태반일 것이고, 외국어 잘해야만 취업할 수 있다라는 선입견이 있기에 종합상사 지원자 중 대부분이 국제학부/경영학과인 듯하다. 지원자 중 상당수가 선배나 주위 사람들로부터 종합상사에 대한 얘기를 들을 기회가 있던? 혹은 드라마 '미생'을 보았던? 사람들이 아니었을까 추측한다.

나는 해외 유학 경험이 없는 토종 한국인이어서, 해외에 오랫동안 살다온 지원자들만큼 외국어를 잘하지 못했다. 종합상사의 경우 제2외국어도 필수인데, 제2외국어의 경우에는 다른 지원자들보다 더더욱 못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Top tier 종합상사의 서류/1차면접(극악무도한!)을 통과할 수 있던 이유는 다른 지원자들에게는 없던 '금융/투자' 스펙이 있었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ex. 경제학 복수전공, 금융자격증 취득, 금융회사 인턴 등)

(물론 외국어를 지원 미달 수준으로 못했던 건 아니다. OPIC AL, HSK 5급이었다.)

따라서 종합상사에 대해 관심이 있는, 취업하고 싶은 지원자의 경우 '금융/투자' 관련 공부를 하고, 스펙을 쌓기를 추천한다. 앞서 말했듯 오늘날의 종합상사는 '종합투자회사'이기에.

반대로 종합상사라는 규모가 크고 해외 투자를 위주로 하는 '대기업 투자회사'가 존재함에도, 대부분의 경영/경제학과 학생들은 뭐하는 곳인지 모른다. 주위에 취업한 사람도 없고, 관심을 가질 기회가 없어서 그럴 것이다. 금융 특히 해외 투자 관련해 관심이 있는 지원자에게 국내 종합상사는 여의도/을지로 등에 위치한 국내 금융회사와 더불어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으니, 관심을 기울여보면 좋을 듯 하다.(단, 외국어 공부는 열심히 해야한다!)

끝.

728x90
반응형
반응형

결혼식장 리뷰(하객) - 서울웨딩타워/더라빌/웨딩시그니처/코엑스아셈볼룸

올해 들어 주변에서 결혼을 많이 한다. 벌써 주말에 결혼식만 5번째 다녀옴..

나중에 개인적으로 참고할 겸 식장 알아보는 커플들에게 하객 입장도 공유할 겸 방문했던 결혼식장 리뷰를 남긴다.

참고로 필자는 집이 영등포이며, 참석한 결혼식의 신랑/신부가 금융권이어서 하객이 많은 편이었다.

접근성/편의성(ATM, 식장 크기)/식사(상차림/뷔페, 맛) 등을 중심으로 간략히 식장별 후기를 기재해놓았다.

(다녀온 결혼식장 중 한 곳은 성당이었기에 따로 기재하지 않았다)

#서울웨딩타워

  • 서울 송파구 위치
  • 8호선 가락시장역에서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가면 됨. 영등포쪽에서 50분 정도 소요.
  • ATM기 1층에 위치(대수가 많아서 인출 용이)
  • 식장 크기는 보통이거나 좀 넓은 느낌이었음. 사람이 많이 올 경우 늦게 오면 서있어야했음.
  • 식사는 상차림식(양식)/ 맛있었음
  • 전반적으로 넓직하고, 그렇게 붐비지 않아 무난무난하나, 서울 서쪽에서 오기에는 거리가 좀 있음

#더라빌

  • 서울 강남구 위치
  • 9호선 삼성중앙역/봉은사역 사이에 위치해서 접근성 좋음. 공터에 건물이 혼자 있는 느낌이라 주차하기도 용이할 것으로 생각됨.
  • ATM기 예식장에 있던걸로 기억?
  • 식장 크기는 보통 수준이었음. 사람이 많이 올 경우 늦게 오면 서있어야했음.
  • 식사는 상차림식(양식)/ 맛은 보통 or 별로..
  • 식사도 일종의 2부 행사처럼 신랑/신부가 인사하고 샴페인 따르고 진행하는게 다른 식장이랑 좀 달랐음.
  • 전반적인 평은 식장 위치는 괜찮으나 뭔가 좀 부족하고 아쉬운 느낌.. 건물 자체가 좀 휑한 느낌도 있고..

#웨딩시그니처

  • 서울 마포구 위치
  • 2호선 합정역에서 걸어서 5분 정도. 영등포쪽에서 20-30분 소요
  • 차 타고 갔는데, 건물 안 주차장소가 제한적이어서 근처 주차장 이용해야하는데, 해당 주차장 찾아가기 빡셌음
  • ATM기 2층인가 있던걸로 기억
  • 식장 보통 수준이었음. 사람이 많이 올 경우, 대부분 서있어야 하는 정도.
  • 식사는 뷔페식/ 무난무난. 뷔페 자리가 넓직해서 편했음.
  • 주차장만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무난했던 느낌. 위치도 서쪽에서 오기 편했음.

#코엑스 아셈볼룸

  • 서울 강남구(코엑스몰) 위치
  • 9호선 봉은사역에서 5분 정도 걸어가면 됨. 다만 코엑스몰 2층에 위치해서 잘 찾아야함! 인포에 물어보지 않고 혼자 찾아가면 헷갈릴 가능성 농후.
  • ATM기가 식장 근처에 없어서 가능한 미리 돈 인출해오는 것이 좋음.
  • 식장은 컨퍼런스홀로 사용되는 공간이기에 매우 넓었음. 예식장 테이블에서 식사도 하는 구조.
  • 식장이 넓직해서 좋았으나, 식장에 식사 테이블이 같이 있어서 뒤쪽 테이블에서는 예식 진행하는 것이 잘 안보였음. 중계 화면 같은 것도 따로 없어서 콘서트장에서 연예인 보는 느낌..
  • 식사는 상차림식(양식)/ 무난무난하나 비쌀 것 같은 느낌..
  • 테이블마다 생화가 놓여있는데(신랑/신부가 돈을 더 낸 것이겠지만), 집에 가져갈 수 있었으며, 식장 밖에 생화 포장해주는 곳이 마련되어 있었음.
  • 뒤쪽 테이블에서는 예식이 잘 안보였다는 점과 위치를 찾기 좀 어렵다는 점을 제외한다면 전반적으로 좋았음.

나는 언제쯤 결혼하려나..

끝.

 

https://naver.me/FNmlDJ15

 

서울웨딩타워 : 네이버

방문자리뷰 68 · 블로그리뷰 898

m.place.naver.com

https://naver.me/FJH6xCH0

 

더라빌 아트센터 : 네이버

방문자리뷰 92 · 블로그리뷰 1,086

m.place.naver.com

https://naver.me/xqfoQO6l

 

웨딩시그니처 : 네이버

방문자리뷰 71 · 블로그리뷰 1,264

m.place.naver.com

https://naver.me/FEJjlDLc

 

코엑스 아셈볼룸 : 네이버

블로그리뷰 45

m.place.naver.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한국주택금융공사(HF) 전세지킴보증 가입 후기 - 전세보증보험/보증료 60만원 절약한 후기

작년(22년) 4월 투룸으로 이사를 했다. 그때만 해도 영등포 지역 투룸 전세 시세가 평균 2억 후반~3억 초반이었는데, 2억 중반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나온 물건에 전셋집을 구하게 되었다.

https://www.fnnews.com/news/202302071406243903

 

매매가 보다 더 가파른 전세가 하락…집값 더 떨어질까

[파이낸셜뉴스] 매매가보다 전세가 하락이 더 가팔라지면서 추가 집값 하락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을 나타내는 전세가율도 하락할 수 있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

www.fnnews.com

내가 이사한 '22년 4월에은 부동산가격이 거의 고점일 때였고, '22년 하반기부터 인플레 대응을 위한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에 따라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기 시작했다.

11개월 정도가 지난 시점은 '22년 3월 기준으로 내가 살고 있는 집의 전세 시세도 2억 후반~3억 초반에서 2억 중반 수준으로 크게 하락했다. 서울 전세 시세가 지수로 15% 이상 하락했으니, 개별 물건은 그 이상으로 빠지는 경우도 다반사이다.

전셋값이 떨어지게 되면, 갭투자한 임대인의 경우 계약 만기 시 보증금을 제때 못돌려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에, 혹시 모를 만약의 상황을 대비해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고자 했다.

전세보증보험이란 임대차계약이 종료되었음에도 임대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임차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 공사가 임대인을 대신하여 임차인에게 임차보증금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내가 거주하고 있는 전셋집의 경우, 대출이 아예 없는 물건이고, 임대인도 평범하게 맞벌이하는 주부셨기에 리스크가 매우 낮아서, 전셋값이 크게 빠지지 않는 이상 돈을 주고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할 생각은 없었는데, 금리 인상으로 전셋값이 크게 하락함에 따라 만약의 상황을 대비해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기로 했다.

전세보증보험의 경우 일반적으로 전세 계약 기간으로부터 절반이 지나기 전 시점(ex. 2년 계약이면 1년까지)까지 신청이 가능하기에, 가능 기한인 올해('23년) 4월이 되기 전인 3월에 미리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고자 했다.

 

전세보증보험을 취급하는 기관으로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 서울보증보험(SGI) 세군데가 있으며, 가장 접근성이 좋았던 전세보증보험 상품으로는 'HUG의 전세금 반환보증'이 있었다.

네이버와 제휴가 되어있기에, 네이버부동산으로 지역 시세 등을 파악할 때 광고가 눈에 들어온다.

처음에는 보증 상품별로 큰 차이가 있을까 싶어 네이버와 제휴가 되어있는 'HUG의 전세금 반환보증'에 가입할까 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금액이 너무 비쌌다. 거의 80만원 정도가 들어서, 마음속으로 비싸야 30-40만원 하지 않을까 했던 나에게는 고민이 되었다. 

그래서 다른 전세보증보험 상품을 알아보다가 발견한 것이 한국주택금융공사(HF) 전세지킴보증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 전세지킴보증의 가입 조건은 아래와 같다.

- 공사 전세자금보증을 이용 중이거나 전세지킴보증과 전세자금보증을 동시에 신청한 자

-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임대차계약을 ‘20.4.1. 이후에 체결한 자

- 보증 가입 즉시 대항력(전입 및 점유)과 우선변제권(확정일자 취득)을 갖출 것

- 임차보증금에 압류, 가압류 등 권리제한이 없을 것

- 개인 임대인은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하며, 법인 임대인은 공공임대주택사업자 및 외국법인이 아니면서 회생절차 등이 진행 중이지 않아야 함

 

나는 한국주택금융공사(HF)의 보증을 바탕으로 한 대출 상품인 청년맞춤전세대출을 이용 중에 있었기에, 가입 조건에 해당이 되었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 전세지킴보증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전세금 반환보증보다 월등히 저렴한데, HUG 전세금반환보증 보증료율은 연 0.15%인 반면, HF 전세지킴보증 보증료율은 연 0.03% 수준이다. HF 전세지킴보증이 거의 1/4~1/5의 수준으로 저렴한 것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 HUG) 전세금 반환보증 보증료율
한국주택금융공사(HF) 전세지킴보증 보증료율

KB국민은행 어플을 통해 HF 전세지킴보증에 가입했고, 보증료로 약 10만원 정도 나왔다. 2년의 기간을 고려했을 때 20만원 정도 보증료로 청구되었을 것이고, 이는 HUG 전세금반환보증을 가입할 경우 소요되는 80만원 대비 60만원이나 저렴한 수준이라 볼 수 있다.

HF 전세지킴보증 보증서

요컨대, 청년맞춤전세대출 등 한국주택금융공사(HF)의 보증을 바탕으로 한 대출 상품을 이용한 고객의 경우, HF 전세지킴보증을 이용하는 것이 다른 상품 대비 훨씬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전세보증보험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HF 전세지킴보증 가입 관련해서는 별도의 포스팅으로 올리도록 하겠다. 

아래는 전세보증보험 관련 사이트 링크이다.

https://www.hf.go.kr/ko/sub02/sub02_05_01.do

 

전세지킴보증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주택보증 | 한국주택금융공사

임대차계약이 종료되었음에도 임대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임차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 공사가 임대인을 대신하여 임차인에게 임차보증금을 지급하는 상품 보증이용절차공사 별도 방문

www.hf.go.kr

http://www.khug.or.kr/hug/web/ig/dr/igdr000001.jsp?tabMenu=Y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신청 방법 1.지사 또는 위탁은행 방문신청2.모바일 신청 - 네이버부동산 > 금융상품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카카오페이 > 간편보험 > 전세보증금반환보

www.khug.or.kr

 

 

 

 

 

728x90
반응형
반응형

금융투자업자의 임직원은 자기의 계산으로 금융투자상품을 매매하는 경우, 본인 명의 계좌를 사용하여야 하고 매매명세를 분기별 또는 월별*로 회사에 통지하여야 합니다.(자본시장법 제63조 제1항)

 * 금융투자업자의 임직원 중 투자권유자문인력·조사분석인력 및 투자운용인력은 월별로, 그 밖의 임직원은 분기별로 회사에 통지

[금융투자상품]

1. 상장주식 : 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및 협회의 프리보드시장 거래주식. 단, 투자회사의 주권은 제외
2. 상장 증권예탁증권
3. 주권 관련 사채권 : 전환사채권, 신주인수권부사채권 및 교환사채권(주권, 전환사채권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권과 교환을 청구할 수 있는 교환사채권만 해당)
4. 지분증권, 증권예탁증권 또는 이들을 기초로 하는 지수의 변동과 연계된 파생결합증권
5. 장내파생상품 : 국내 파생상품시장에서 거래되거나, 해외 파생상품시장(국내 파생상품시장과 유사한 시장으로서 해외에 있는 시장과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5조에서 정하는 해외 파생상품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을 말한다)에서 거래되는 파생상품(자본시장법 제5조제2항)
6. 지분증권, 증권예탁증권 또는 이들을 기초로 하는 지수의 변동과 연계된 장외파생상품

※ 참고

https://law.kofia.or.kr/service/law/lawFullScreenContent.do?seq=284&historySeq=780 

 

금융투자협회 법규정보시스템 | 금융투자회사의 컴플라이언스 매뉴얼 공통·증권·선물편 | 규정

1. 법인(단체)명 : 사업자등록증, 고유번호증, 사업자등록증명원, 법인 등기부 등본, 납세번호증, 영업허가서, 정관, 외국인투자기업등록증, 전자공시, 상용 기업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law.kofia.or.kr

 

[규제 대상이 아닌 금융상품]

- 펀드(ETF, 리츠(REITs),  상장인프라펀드-맥쿼리인프라  포함)

- 해외상장주식

 

[관련 규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4조(임직원의 금융투자상품 매매)

②  제63조제1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투자상품을 매매하는 경우에는  제63조제1항 각 호의 방법에 따라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금융투자상품이  제9조제4항에 따른 투자일임계약에 따라 매매되는 경우에는  제63조제1항제3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증권시장에 상장된 지분증권(제178조제1항제1호에 따른 장외거래 방법에 의하여 매매가 이루어지는 주권을 포함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가.  제9조제18항제2호에 따른 투자회사(이하 “투자회사”라 한다)의 주권과 투자유한회사ㆍ투자합자회사ㆍ투자유한책임회사ㆍ투자합자조합ㆍ투자익명조합의 지분증권

 

[매매 관련 회신 모음]

- ETF는 자본시장법상 집합투자증권이므로 임직원 자기매매 규제대상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본시장법 상 ETF 매매내역 신고의무 등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https://www.kofia.or.kr/voc/m_113/view.do?voc_id=1541&answer_seq=663&srchWord=&srchTp=&page=1 

 

답변입니다. 상세보기|업무별 문의사항 | 금융투자협회

1. ETF는 자본시장법상 집합투자증권이므로 임직원 자기매매 규제대상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본시장법 상 ETF 매매내역 신고의무 등은 발생하지 않습니다.2. ETN은 자본시장밥 상 파생결합

www.kofia.or.kr

 

-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른 투융자회사인 상장 인프라 펀드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4조 제2항 제1호 단서 및 가목에 해당합니다. 상장 인프라 펀드는 금융감독원 임직원행동강령에 따른 신고 대상 금융투자상품이 아니며, 해당 펀드는 신고없이 투자 가능합니다.

https://www.clean.go.kr/board.es?mid=a10421020000&bid=2008&tag=&act=view&list_no=1057&nPage= 

 

- 부동산투자회사법 제49조의3 제1항에 따라 공모부동산투자회사에 대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63조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모부동산투자회사인 상장 리츠는 신고대상 금융투자상품이 아니며, 투자 가능합니다.

https://www.clean.go.kr/board.es?mid=a10421020000&bid=2008&tag=&act=view&list_no=1058&nPage= 

 

- 상장주식이나 ELS 등 신고대상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1개의 증권사 및 1개의 계좌만 이용해야 합니다. 다만, 상장주식이나 ELS 등은 전혀 거래하지 않고 펀드만 거래한다면 2개 이상의 증권사 및 계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https://www.clean.go.kr/board.es?mid=a10421020000&bid=2008

 

- 자본시장법상 신고대상인 상장주식은 국내 증권거래소가 개설한 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외 상장주식은 자본시장법에서 정한 매매방법과 무관하게 매매가능하며 신고대상도 아닙니다.

https://www.clean.go.kr/board.es?mid=a10421020000&bid=2008 

 

728x90
반응형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반응형

source: Charlie Bilello Twitter

1928년부터 미국 S&P500 연간 MDD(Maximum DrawDown, 최대낙폭)

표에 따르면 거의 매년 5% 이상의 조정이 있었으며, 10% 이상의 조정도 2년에 한번 꼴로 존재함.

https://blog.naver.com/hahehi456/222529162289

 

S&P500 지수 100년간 MDD(최대낙폭)

Charlie Bilello라고 주식 관련 통계 수치 트위터에 업로드하는 금융인? 인플루언서?(feat. 질문? 지적?)...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