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플레이션>

 

1. 정의: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deflation)이라고 한다.

 

2. 문제점경제 위기 이후 짧은 기간 동안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님. 그러나 일본과 같이 장기간 디플레이션이 지속될 경우 큰 문제(자기 실현적인self-fulfilling 디플레이션)

유일하게 일본만 심각한 종류의 디플레이션을 겪은 나라임.

 

1) 디플레이션 스파이럴

: 물가가 계속 낮아질 것이라 생각해 소비를 늦춤 -> 기업들 타격, 고용 축소 -> 가계 소득 감소 -> 소비 더 줄임

Ex. 일본

<일본 임금>

- 아직도 80년대 후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일본의 임금 수준..

 

2) 부채디플레이션

: 물가하락으로 실질금리가 상승하여, 채무상환에 부담을 느낀 가계나 기업이 보유자산을 서둘러 매각하면서 자산가치가 하락하고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 피셔 방정식:

i = r + π,

r = i – π -> 실질금리 = 명목금리 인플레이션율

 

보통 인플레이션율이 (+)이기에 실질금리는 명목금리보다 낮음

디플레이션 상황 - 인플레이션율이 (-)가 되면, 실질금리가 높아지게 됨.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채무 부담 증가 -> 자산 투매 -> 자산 가격 하락 -> 총수요감소 -> 추가적인 물가 하락

 

 

+) ‘채무자 -> 채권자로 부가 이동

(돈 빌린 사람 -> 돈 빌려준 사람)

Borrower -> Lender

- 보통 돈을 빌린 사람은 소득이 낮고, 소득이 낮을수록 한계소비성향(소비/가처분소득)이 높은 편(의식주와 같이 꼭 필요한 곳에는 돈을 써야하니까)

-> 사회적으로 소비(C)가 감소 -> 총소득(GDP) 감소

 

+) 실질금리가 높아져 투자(Investment) 감소 -> 총소득(GDP) 감소

 

3)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제약

- Zero Lower Bound 제로금리한계

: 명목금리는 하한이 존재함, ‘>=0’ 이어야 함(이자율이 0보다 작을 수 없으니)

- r = i – π -> 실질금리 = 명목금리 인플레이션율

- 원래 인플레가 발생하면 실질금리는 (-) 수도 있음. 그러나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명목금리(i)0으로 만들어도 실질금리는 그것보다 높을 수 있음.

- 이는 통화정책을 제약하는 효과를 가짐

 

3. 일본의 사례

- 95년 이후 20여년에 걸쳐 만성적인 물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1) 배경

플라자 합의 -> 엔고 -> 수출 경쟁력 하락, 내수 증진을 위해 저금리 기조 -> 급격한 자산 가치 상승으로 인한 버블 -> 이후 중앙은행의 급격한 금리 인상 -> 80년대 말 버블 붕괴로 인해 부동산 포함 자산가치 폭락

< 일본 부동산 가격>

 

<일본 전년동월비 물가지수>

* 부동산 붕괴 이후 -> 디플레 -> 저금리 + 양적완화

Cf) 최근 북유럽: 0% 수준의 인플레 + 저금리 -> 부동산 가격 급상승

 

4. 참고

폴 크루그먼 한국, 디플레를 막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 필요

: 뉴욕시립대 교수가한국 경제에 디플레이션이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의 과감하고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밝혔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574106

 

728x90
반응형
반응형

향후 10년간 유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및 기업

 

1. 공유경제(Sharing Economy) 플랫폼 산업

공유경제 - 직접 자산을 소유하는 것이 아닌, 자산을 일시적으로 임대해서 원하는 시간 동안만 이용하는 산업.

이 공유경제를 영위할 수 있도록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해주고, 중간에서 수수료를 얻어가는 ‘플랫폼’ 업체가 유망할 것으로 전망.

1) 이유

- ‘스마트폰’의 확산을 바탕으로 공유경제 플랫폼을 이용해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짐

- 저성장국면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소유’ 보다는 ‘사용’에 의미를 부여하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 교통수단의 발달, 여행 경비 감소로 인한 ‘여행객‘의 증가

-> 공유경제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수요 지속적으로 증가

+) ‘플랫폼’ 업체의 경우 자체 보유 자산이 적은 양이어도 사업 영위가 가능하므로, 초기 투자 금액이 다른 기업에 비해 작은 편 – 초기에 적절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cf) ‘임대형 플랫폼‘ 역시 소유보다는 이용에 중점을 두는 소비 트렌드의 전환으로 유망한 산업이나, 기업 자체의 ’보유 자산’이 많아야 하므로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됨.

2) ‘공유경제 플랫폼’ 기업 사례 -

(차량 공유 서비스 부문)

- UBER;

대표적인 차량 공유 플랫폼 업체인 ‘UBER’는 상장시 예상 시총이 1200억 달러이며, 이는 美 GM과 FORD의 시총을 합친 것보다 더 큰 규모임.

- GRAB;

- 동남아에서 활약 중인 차량 공유 서비스 GRAB은 기업가치가 ‘6조‘가 넘는 유니콘 기업으로 동남아에서는 UBER를 제치고 차량 공유 서비스에서 1위를 기록 중(현지 기업이 지역에 특화된 전략을 바탕으로 글로벌 업체를 이길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

- 단순히 자동차뿐만 아니라 동남아에 특화된 교통수단(툭툭, 오토바이) 역시 GRAB을 통해 이용 가능

- 차량 공유 플랫폼을 통해 확보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GRAB PAY’(결제 서비스), ‘GRAB FOOD’(음식배송 서비스)와 같은 다른 서비스도 제공하며 여러 방면에서 수익 추구

(공간 임대 서비스 부문)

- 에어비앤비(AirB&B); 기업가치 310억달러로 추정.

- 191개 이상의 국가, 3만 4천개 이상의 도시에 진출

이 외에도 ‘펫시터(애완동물 대신 돌봐줄 사람을 찾는)’ 플랫폼과, 안 쓰는 물건을 공유하는 플랫폼(옴니, Omni) 등이 존재

(국내 사례)

- 카풀 플랫폼 앱 ‘플러스’, ‘카카오 카풀’

- 버스 공유 플랫폼 ‘콜버스’

- 주자창 공유 플랫폼 ‘모두의 주차장’

3) 리스크

- 한국에서는 여러 규제 때문에, 자생적인 공유경제 플랫폼 업체가 성장하기 어려운 상황.

ex. 에어비앤비 – 규제로 인해 임대 가능 공간 및 기간 극히 제한적

우버 – 택시업계 반발로 한국에서 기본 서비스 모델 철수(고급 차량 렌트 서비스만 남은 상태)

콜버스(버스 임대 서비스, 국내 업체) - 택시 업계 반발 및 이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규제로 운영에 차질

- 수요자와 공급자가 동시에 존재하는 시장이어야만 영위 가능. ‘임대형 플랫폼’에 비해 제한적인 범위.

 

2. 5G(5세대 이동통신) 산업

1) 이유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 이전 LTE에 비해 최대 20배 빠른 속도를 자랑

- 대용량의 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전송 가능, 지연시간(delay)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 4차 산업 혁명에 대두되는 다른 산업(ex. 자율주행자동차, VR, AR)의 개발에 있어 필수적 ex. 자율주행자동차 운영에 있어 자동차 간 신속한 정보 교환은 사고 방지를 위한 선결 조건.

2) 관련 기업

: 통신사(SKT,LG유플러스,KT), 통신장비(와이솔, 이노와이어리스)

 

3. 헬스케어, 바이오 산업

1) 이유

- 고령화되어가는 인구 구조 때문에 헬스케어, 바이오 업종에 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추세(특히 중국)

-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 실적의 성장률은 연평균 29.8%

- 새로이 개발된 신약뿐 아니라 특허 보호 기간이 해제된 약을 복제해 파는 ‘바이오시밀러’ 분야도 유망할 것

2) 관련 기업

셀트리온(바이오시밀러), 한미약품, 종근당..

3) 리스크

- 신약 개발의 경우 3상까지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기에 불확실성이 큼

 

4. 엔터테인먼트 산업

1. 이유

- Youtube와 같은 ‘스트리밍 플랫폼’의 발달으로 짧은 시간 안에 전세계 다수의 시청자들에게 접근 가능

- 컨텐츠에 내실만 있다면, 기획사의 규모와 무관하게 큰 성공을 이룰 수 있음

ex. 소규모 기획사였던 빅히트ent.의 방탄소년단(BTS) 성공을 통해 지난해 거대 3사(SM, YG, JYP)를 상회하는 영업이익 기록

- 한국에서 성공한 컨텐츠는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쉽게 인기몰이를 할 수 있음

ex. 트와이스, 빅뱅, IKON 등 한국 가요 차트에서 순위권에 오른 가수들의 노래는 일주일 안에 한중일 포함 아시아 차트 상위권에 랭크

2. 관련 기업

: 로엔 ent., YG ent., JYP ent., SM ent., 빅히트 ent.

 

728x90
반응형
반응형

 

2개월 가량 사모투자부서에서 인턴 생활은 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때 처음 들어본 개념도 많고, 용어도 많았는데요. 그때 개념을 확실히 하기 위해 정리해놓은 자료입니다!

모두 PEF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텍스트 추가

텍스트 추가

 

1. 기본 개념

- Private Equity Fund; (경영 참여형) 사모펀드

-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사모’(私募,49인 이하) 방식으로 자금을 모집한 후; Fund!!

- ‘비공개’ 방식으로 투자 대상을 발굴해 지분 등에 투자하고

- ‘경영 참여‘를 통해 ‘기업가치를 향상’시켜 수익을 창출하는 금융형태

 

2. 과정

1) 출자; LP(출자자)로부터 출자를 받아 펀드 설립

2) 투자; ‘대상 발굴 -> 예비 심의 -> 실사 -> 최종심의’ 과정을 거쳐 투자 결정

3) 기업가치 상승(Value Up); 투자 이후에 경영 참여를 통해 기업가치 향상, 지속적인 관리

4) 수익 창출(회수); IPO(Initial Public Offering, 주식 시장에 기업을 상장시키는 것)나 SI(Strategic Investor, 전략적 투자자) 등에게 매각을 통해 수익 창출

5) 수익금을 출자자들에게 분배, 이후 이를 바탕으로 재투자

 

3. 참여자

- GP(General Partner, 운용사!, 업무집행사원, 무한(無限)책임사원)

; 기업은행 사모투자부는 GP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자산운용사 등과 함께(Co-GP) 운용

GP는 운용만 하는 것은 아니고 함께 투자함!

GP의 성공적인 운용(Track Record)은 차후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출자를 받는 데 중요!!

ex. 기업은행 사모투자부, MBK 파트너스, IMM PE

- LP(Limited Partner, 출자자!=투자자, 유한(有限)책임사원

; LP로부터 출자를 해서 GP가 대상 기업에 투자, 운용해서 수익을 낸 뒤 LP에게 분배하는 형태

ex. 연기금, 공제회

 

4. 투자 대상 기업

- 메자닌 펀드(Mezzanine Fund)

- IPO를 앞두고 있거나, 몇 년 간 사업을 영위해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 = 확장 단계에 있는 기업

- 신생 벤처 X(투자금이 기업 필요 자금보다 너무 크기 때문에)

 

5. 투자 대상 증권

1) 보통주

2) 우선주 ex. 상환전환우선주(RCPS,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s); 상환-주식인데 투자금 회수 가능!/ 전환-우선주 -> 보통주

3) 주식연계증권; 채권으로 발행되나 주식으로 변환 가능(메자닌 부채)

-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채권인데 차후에 주식으로 전환 가능

- 신주인수권부사채(BW, Bond with Warrant); 채권인데 후에 주식을 새로 매입할 권리를 부여

-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

 

6. 자금 모집 형태

- 1) Blind; 일단 자금을 모집한 후, 투자할 곳 물색

- 2) Project; 투자할 곳을 선정하고, 자금을 모집

- Capital Call; 펀드 모집 시에 출자자로부터 출자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 건이 발생할 때 마다 출자를 요구하는 형태

 

7. 보수의 형태

- 투자수익; 투자에 대한 대가로 얻은 수익(LP, GP), 변동적

- 운용보수; 운용에 대한 대가로 얻는 보수(GP), 통상적으로 연간 약 1~2% 수준, 고정적

- 성과보수; 성공적으로 운용한 대가로 얻은 추가 보수(GP), 통상적으로 초과수익의 20% 정도

 

8. 대표적인 PEF 운용회사

- The Blackstone Group

- KKR(Kohlberg Kravis Roberts)

- The Carlyle Group

- MBK파트너스(국내)

 

9. PEF 대표 사례

- ‘KKR’과 ‘어피니티’는 OB맥주를 AB인베브에 2009년 2조 3,000억원에 매입 후 2014년에 6조에 되팜

- ‘론스타’는 서울 역삼동 스타타워를 2001년 6,300억원에 매입해 2005년 싱가포르투자청에 8,600억원에 되팜

- ‘MBK 파트너스’는 2013년 ING생명 본사로부터 한국 법인 지분 100%를 1조 8400억원에 사들인 뒤, 17,18년 동안 IPO를 통한 매각과, ‘신한금융지주’에게로의 매각을 통해 총 3조 4000억원을 회수

 

※ 사모투자부 직원분들이 주로 하시는 일

1. 투자할만한 기업 물색

2. 투자한 기업 관리

3. 실사(1,2를 수행하기 위해)

4. 투자금 회수

 

728x90
반응형
반응형

중국 경제 4가지 위험 요소 – 08/29

 

https://www.chinausfocus.com/finance-economy/a-structural-solution-to-chinas-structural-debt

 

목차.

- 중국 경제의 4가지 위험 요소

1. 부채

2. 부동산버블

3. 좀비기업

4. 고령화

- 영향

- 반대 의견

 

 

- 중국 경제의 4가지 위험 요소

 

1. 부채

1) 상황

 

- 중국의 GDP 대비 총부채비율은 2008162%에서 2017266%로 폭증

총부채 = 공공(정부 포함) + 기업 + 가계

 

최근에는 300%를 넘는 수준. – 규모뿐 아니라 성장세가 매우 빠르다는 것이 문제

The nation’s total stock of corporate, household and government debt now exceeds 303% of gross domestic product and makes up about 15% of all global debt, according to a report published by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Finance. That’s up from just under 297%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9-07-16/china-s-debt-growth-keeps-marching-on-as-economy-loses-pace

 

가계부채와 정부 부채는 각각 GDP50% 수준이나, 기업부채(non-financial)150% 수준(financial 분야는 50%)

BUT 대부분 국내에서 조달, 외채 비중은 매우 적음

 

- 암묵적 부채를 지니고 있는 지방정부 부채

: 중국의 지방정부 부채 규모는 공식적인 통계 외의 암묵적 부채(债务)까지 포함시 최 대 40조위안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중국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지방정부의 암묵적 부채는 주로 지방정부 융자플랫폼(Local Government Fiannacing Vehicles, LGFV)을 통한 자금조달을 의미

 

2) 원인

- 지방정부가 성()마다 경쟁적으로 성과를 보이기 위해(+ 각 성의 서기들이 자신의 임기 내에) 기업들에게 막대한 대출을 제공

- 지방정부의 인프라 사업을 위해 자금이 필요한데, 지방채 발행에는 한계가 정해져 있어, 우회적인 루트를 통해 자금을 조달

 

3) 위험 요인

기존에는 중국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기에 문제가 드러나지 않았지만, 성장세가 꺾인다면 부실 대출의 결과가 속속 들어날 것이다.

 

+) 대출 중에서도 전통적인 은행 대출 상품이 아닌 그림자금융 상품들이 많은데, 이러한 그림자금융 상품들은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려워 더욱 위험.

Ex. WMP(Wealth Management Product)                                                   

- 잔액만 2018년 기준 3600조원 규모. 매우 위험한 자산에까지 투자하기에 위험

 

 

4) 중국 정부 대응

- 대규모 채무 교환 프로그램

: 지방정부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고금리 채무 -> 저금리 채권으로 교환시켜줌

- 관리, 규제 강화

 

 

2. 부동산 버블

 

1) 상황

- 현재 중국 전체 도시 평균 집값 상승률 연간 10퍼센트 수준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과 공급으로 인해 지방에는 유령 도시들이 많은 상태.

-> 중국 동부 해안가를 중심으로 하는 도심 지역에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반면, 다른 곳은 인구가 없는데 건물만 있는 상황

 

2) 원인

 

부동산 개발은 중국 지방 정부의 주요 수입원이었기 때문. 농민들로부터 헐값에 땅을 매입해, 개발업자들에게 넘기는 식.

산발적으로 신도시들이 개발되었고, 개발업자들은 막대한 부채를 지고 있는 상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한다면, 부채에 대한 부담은 가중될 것

 

3) 위험 요인

- 중국의 가계부채도 부동산 관련 대출이 60퍼센트 수준. 2017년 가계부채 규모는 67천억 달러 수준.

- 버블이 꺼지게 된다면 막대한 규모의 부동산 관련 대출이 부실화되면서 가계, 은행, 경제 전반에 큰 악영향을 끼칠 수도 like 08 금융위기

 

버블이 꺼질 수 있는 세가지 이유

1) 저금리cheap credit를 통한 자금 조달이 더 이상 불가능할 수도

: 중국의 부동산 가격이 수급에 의해서 올라가는 것이 아닌, 풀린 자금이 투기를 목적으로 몰려서 오르는 것. 저금리는 중국 정부 정책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기에, 집값 상승 억제를 위해 돈줄을 쥐게 된다면 금세 무너질 수도

 

2) 미중 무역 분쟁으로 성장률 악화되면 집값이 꺼질 수도

: 경제 성장률이 떨어지게 되고, 사람들의 주머니 사정이 좋아지지 않으면, 부동산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게 될 것이므로 집값은 떨어질 것

 

3) 집값이 너무 상승하면 실구매 수요 감소할 것

: 집값 대비 가처분소득 비율이 너무 높아지면, 사람들이 구매할 수가 없어서 실수요가 줄어들 것

https://www.forbes.com/sites/panosmourdoukoutas/2019/04/07/three-things-that-could-crush-chinas-hot-home-prices/#1cb13e0e4e60

 

https://mn.kbs.co.kr/news/view.do?ncd=4210748

 

 

4. 중국 정부의 대응

17년도에 유동성 축소, 일정 기간 양도 제한 등의 부동산 규제 책을 내놓았으나,

최근 경기 상황이 안좋아짐에 따라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

https://www.yna.co.kr/view/AKR20181219139200083

 

 

3. 좀비 기업

 

1) 상황

16년 기준 국영기업까지 포함해서 10,000개가 넘는 좀비 기업이 있는 것으로 추정.

https://www.scmp.com/economy/china-economy/article/2185186/china-steps-efforts-close-failed-zombie-companies-2020-faces

 

2) 원인

- 정부, 국영은행, 국영기업이 파산 위기의 기업을 구제해 줌

: 정부 차원에서 대량 실직 방지를 위해 국유기업이 좀비기업을 인수하게 하는 식으로 함

-> 1. 기업 부채 상승과 연관

: 0893퍼센트 수준이었던 기업 부채가 현재 150퍼센트 상회

 

2. 중국의 총요소생산성(TFP, Total Factor Productivity)과도 연관

- 총요소생산성이란 자본과 노동 투입으로 인한 생산성 증가를 제외한 부분. Ex. 기술 발전.

- 98~ 07년까지 상승하다, 정체

 

While productivit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grew an average of 2.6 percent a year from 1998 to 2007, growth has been almost zero since, according to Loren Brandt, a China specialist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In the U.S., by contrast, productivity growth fell from 1 percent to about 0.5 percent over the same period, he says.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7-07-13/this-is-china-s-real-economic-problem

https://blog.naver.com/hong8706

: 이 역시 08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 정부가 생산성이 떨어지는 국영기업에게 막대한 자금을 투여했기 때문. + 효율이 떨어지고, 기술력이 떨어지는 좀비 기업들에게 지방정부가 막대한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생명을 연장시켰기 때문.

 

3) 위험 요인

좀비기업들이 계속 존재하게 되면, 시장에 과잉 공급이 초래되고, 상품의 가격은 하락하게 되서 다른 기업들까지 곤란한 상황 지속.

 

좀비 기업 -> 과잉 공급 -> 제품 가격 하락 -> 멀쩡한 기업들까지 타격

 

4) 중국 정부의 대응

- 15년 국무원 회의에서 좀비기업 문제를 처음으로 제기

- 18년 말에 공식적으로 20년까지 좀비기업을 퇴출시키기 위한 작업에 돌입

: 3개월 내 좀비기업 명단 작성 △변칙적인 보조금ㆍ재정 지원 금지2020년까지 좀비기업 완전 퇴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좀비기업 채무 문제 해결 지침’을 관계기관에 하달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12051738023532

 

 

 

4. 인구 고령화

 

1) 상황

지난 1999 고령화 사회(60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10% 이상) 진입한 중국은 지난해 기준으로 노인 인구는 240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7.3% 달한다.2020년까지 60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17.8%까지 늘어나고, 2030년에는 25%, 2050년에는 34.9%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2) 원인

개도국이 선진국으로 가는 과정

+ 오랜 기간 동안의 1자녀 정책

 

3) 위험 요인

- 고령화. 중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턱없이 낮은 상황에서 고령화를 맞게 됨

: "중국의 현재 1인당 명목 GDP는 미국의 6분의 1 수준으로, 일본은 1960, 대만은 1978, 한국은 1986년에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후 세 나라는 수십 년 동안 평균 78%의 성장률을 유지하며 경제 규모를 키웠다"고 말했다.

- 일본의 사례(한국 사례이기도)에서도 알 수 있듯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의 고령화는 사회의 성장성을 저해하는 큰 위험

: 고령화의 결과 1992년부터 일본의 성장률은 미국에 뒤처졌고, 한때 미국 GDP 71%까지 커졌던 경제 규모는 지난해 미국의 24%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한국 역시 20012018년 출산율이 1.18명에 그친 심각한 저출산 문제로 성장동력이 떨어지면서 미국 대비 경제 규모는 2011년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로 들어섰다.

https://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nNewsNumb=20180529098&nidx=29099

 

4) 중국 정부 대응

- 2015년부터 두 번째 아이를 갖도록 완화. 이후 완전 철폐 검토 중

- 고령화 대응 부서 신설

: 중국 정부가 인구정책을 담당하는 국가기관인 국가위생건강위원회(국가위생위) 최근 산하에 있던 '계획생육(計劃生育 산아제한)' 관련 부처를 없애고 고령화 대응 부서를 신설했다.

 

+) 루이스 전환점

루이스 전환점: 생산성이 낮은 농촌부문의 잉여노동력이 생산성이 높은 도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생김. 잉여노동력이 고갈되어서 농촌과 도시의 한계노동생산성이 같아질 때, 이동이 종료

루이스 전환점 통과 = 임금 상승 -> 경제 성장률 하락

 

- 현재 중국 경제가 루이스 전환점을 지나는 것 아닌가 하는 이야기가 곳곳에서 들려옴

:  중국 정부는 12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2011~2015)에서 소비 주도의 성장전략을 공언하며 최저임금과 평균임금을 인상하는 계획을 시행했다. 결과 기간에 중국의 최저임금은 연평균 12.4% 증가했다. 지난해 지역별 최저임금 인상률은 평균 10.7%였다. 지난해 중국 도시지역 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상승률은 8.9% 기록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106923

 

 

위기 시 영향

 

1. 중국 경제가 흔들릴 것

: 과거와 다르게 중국 경제가 세계 경제와 연결되어 있고, 기여하는 부분이 크기에 중국이 흔들린다면, 세계 경제가 휘청이게 될 수도

- 풍부한 내수 시장.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소비 대국

- 최대 원유수입국 중 하나

- 중국 수출품 중 47퍼센트가 해외 기업이 중국에서 생산한 것

 

2. 중국 공산당 정부의 권위가 흔들릴 것. -> 국가 내 불안정 심화

 

반대의견

 

이러한 위기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금세 짧은 시일 내에 위기가 현실화되지는 않을 것

1. 경제

- 국가재정이 양호한 편: GDP 대비 국가부채는 50퍼센트 수준

- 17년 기준 도시화율이 60퍼센트 미만. 선진국들은 대부분 80-90퍼센트. 아직 도시화를 통한 성장이 가능한 상태

 

2. 정치

- 4차 산업혁명의 발달을 통해 국민 개개인에 대한 감시가 정교, 은밀해졌음.

728x90
반응형
반응형

<환율조작국/ 환율 관련>

 

# 1. 환율조작국

http://yalibnan.com/2019/08/06/us-treasury-designates-china-as-a-currency-manipulator/

 

1. 개괄

 

미국 재무부가 5(현지 시각) 중국을 25년 만에 환율조작국으로 전격 지정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앞으로 1년간 저평가된 달러당 위안화 환율을 시정하라는 미국의 강한 압박을 받게 된다. 이후에도 위안화 환율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미국 기업들의 중국 투자 제한 등의 경제 제재를 받게 된다

*환율 조작국이란?

 

미국은, ‘국제무역시장에서 불공정한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환율을 조작하는 국가를 조사한 뒤 매년 4월과 10월 두 차례 ‘환율보고서’를 발표한다. 미국은 지난 4월 중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한 데 이어 10월 발표까지 두 달을 앞당겨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이다.

 

지난 4 미 재무부가 환율보고서를 발표할 당시, 미국이 무역 보복 조치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거란 관측이 제기됐지만 미국은 중국을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하는 데 그쳤다. 다만 당시 보고서는 "달러 대비 위안화 저평가 관점에서 중국의 통화정책에 심각한 우려를 계속 갖고 있다" "예외적으로 크고 갈수록 확대되는 무역불균형(대미 무역흑자)의 관점에서 향후 6개월 신중하게 (위안화 환율을) 관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지난 12개월간

대미 무역흑자가 200억 달러 이상

경상수지 흑자가 해당국 GDP 2% 이상

외환 순매수액이 GDP2% 이상

미국과 일방적으로 과도한 무역적자를 기록한 교역대상국은 상기 3개 조건 중 2개를 충족하지 않아도 감시대상국으로 지정 가능하며(중국이 이에 해당한번 감시대상국으로 지정된 국가는 추후 2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아도 최소 2차례 연속 지정됨 

- 지난 5월 말, 미국은 지정 요건을 대폭 완화.(더 쉽게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중을 GDP 대비 3% 이상에서 2% 이상으로

조정하고 외환시장 개입 여부 판단 기준도 1년 중 8개월에서 6개월로 변경했다.

 

 

 

 

2. 원인

 

그 이유는 달러-위안 환율이 사실상 중국 정부가 조정할 수 있는* 수치이기 때문.

* 중국의 환율제도 = 관리변동환율제, 인민은행이 달러를 시장에 사고 팔면서 적정수준 유지 가능.

 

달러-위안 환율은 평소에는 1달러=6.XX 위안 수준에서 유지되는 게 일반적.

그 수치가 1달러=7.XX 이 되면 그건 중국 정부가 그걸 허용 또는 유도했다는 뜻이 되고 그 변화에 담긴 중국 정부의 뜻은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리고 위안화 약세를 유도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충분.

 

미국이 관세를 부과하는데 중국이 위안화를 약세로 만들어버리면 관세 부과 효과가 없어짐.

 

EX) 1달러=6위안이라면 미국에서 1달러에 판매되는 중국산 상품에 미국이 관세를 10% 붙이면 그 제품의 가격은 6.6위안(제조원가 6위안+관세 0.6위안)이 됩니다. 그럼 중국 제조사는 1.1달러에 팔거나 그냥 1달러에 팔면서 속으로 0.6위안을 손해보고 팔아야 합니다. 경쟁력이 있는 중국산 제품은 1.1달러에 팔 것이고(그러나 가격이 비싸져서 손님은 좀 줄어들 것이고) 경쟁력이 없는 중국산 제품은 그냥 1달러에 팔리면서 그걸 만드는 중국인들이 손해를 보게 될 겁니다.

 

그런데 이때 1달러=7위안으로 환율이 바뀌면(위안화 가치 절하) 이 문제가 쉽게 해결됩니다.  제조원가가 6.6위안으로 올랐지만 1달러=7위안이므로 6.6위안은 94센트일 뿐입니다. 종전처럼 1달러를 받고 팔아도 오히려 6센트어치만큼 더 이익입니다. 이런 상황은 미국이 제일싫어하는상황입니다. 미국이 중국을 때렸으면 중국은 맞으면서 아프다고 해야 속이 시원할 텐데 미국의 펀치를 환율을 움직여서 피해버리는 모양새이기 때문입니다.

 

 

한편, 기존에 중국은 1위안 당 7달러 밑으로 유지했었음. 그 이유는

1. 기축통화국으로 부상하길 바랬기에 통화의 안전성이 필요했고

2. 중국 기업들이 외국에서 빌린 자금이 3조 달러나 됨. 따라서 중국 통화가 약해지고 위완화 환율이 오르게 되면, 기업의 빚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

 

 

3. 영향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 중국은 앞으로 1년 동안 미국으로부터 저평가된 위안화 환율 가치를 정상화시키고 무역 흑자를 시정하라는 미국의 압박을 받게 된다. 1년 뒤에도 위안화 환율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미국은 중국에 △미국 기업들의 투자 제한 △해당 국가 기업의 미국 내 조달시장 진입 금지 △IMF를 통한 압박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다

- 환율조작국으로 중국이 지정된 다음날 전세계 증시가 2~3% 수준으로 크게 빠졌음. 한국의 경우 바이오 기업들의 임상 실패와 더불어 코스닥 시장이 7% 가량 폭락

본격적인 무역전쟁이 시작되는건가 하는 분위기가 고조

 

- 워싱턴포스트(WP)는 전문가를 인용, "이번 조치는 매우 큰 정책적 실수"라며 "이로 인해 경기 침체의 늪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4. 앞으로의 전망

 

 

5. 한국에의 영향

 

- 미국의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은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된다는 뜻이며, 이는 한국에 부정적인 영향. 수출 감소, 성장률 하락, 환율 상승 등을 야기

 

- 한국 역시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며, 현재 미국의 환율 관찰대상국리스트에 올라있으며, 환율 조작국에 지명될 위험이 있기에 신경써야함.

미국이 중국을 때리며 우리나라도 같이 거론하게 된다면, 곤란한 상황이 펼쳐질 수 있음.

 

6. 한국의 대응방안.

 

-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 다음날 우리나라는 국가의 경제 수장들이 모여 대응방안을 논의.

 

이주열 총재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더해 미·중 무역분쟁 심화로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는 만큼 시장의 안정, 특히 외환시장의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총재는 "시중 유동성을 여유롭게 관리하는 한편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당부했다이와 관련 한은 콜금리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지급준비금시장의 자금을 여유롭게 관리하면서 필요시 환매조건부채권(RP)매입 등은 통해 유동성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06/2019080601102.html

http://now.rememberapp.co.kr/2019/08/08/4677/

 

 

 

#2 한국 환율

 

1. 개괄

 

7월 한달 동안 2.4%의 하락폭을 기록하며 8월에 달러-원 환율(won/$)1200원을 넘어섬.

 

2. 원인

 

1) 달러 가치가 상승

18년초 88수준까지 갔던 달러인덱스가 현재 97정도까지 올라왔음.

- 18년에 있었던 4차례의 연준의 금리 인상

- 글로벌 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홀로 견고한 미국 경제의 성장세

 

2) 원화 가치가 하락

한일 무역 전쟁

미중 무역 전쟁의 영향으로 원화 가치가 하락

 

3. 영향

1) 환차손 때문에 국내에서 기존 외국자금 빠져나감, 외국인들의 신규 투자 역시 감소

2) 한국은 현재 미국의 환율 관찰대상국리스트에 있음 -> 환율이 지나치게 상승하면 정부 차원(기재부, 한은)에서 환율을 적정 수준 안으로 끌어내리기 위해 개입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미중 환율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 상황에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위험이 있음.

 

4. 전망

 

달러-원 환율이 높은 채로(원화 가치가 낮음) 유지될 가능성이 높음.

- 미중 무역전쟁: 기존에 중국의 대체 투자처로 외국인들이 우리나라 증시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 자금이 빠져나간다면 환율이 높아질 것

- 한일 경제전쟁

- 반도체 호황이 계속될지 여부: 2017년도, 18년도 반도체 슈퍼사이클로 인해서, 외화 자금이 우리나라에 쏟아져 들어왔었는데, 반도체 업황이 과거에 미치지 못한 채를 유지하게 된다면 환율이 높아질 것

 

728x90
반응형
반응형

금리에 대한 정리 포스팅.

#0. 금리인하

#1. 미국

#2. 한국

#3. 유럽

#4. 장단기 금리 역전

 

#0.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1) 원인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 

2) 목적

경기 부양/ 경기 둔화 속도 조절

3) 작동 방식

금리인하(전통적 통화정책) - > 1 .금리 경로 2. 환율 경로 3. 자산 경로

금리경로: 금리 인하 -> 자본조달비용 감소 -> 투자 증가

환율경로: 금리 인하 -> 자국 통화 약세(환율 상승) -> 수출 증가

자산경로: 금리 인하 -> 민간 보유의 자산 가격 상승 -> 소비 증가

즉, 금리 인하는 위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총수요를 증가시켜 경기를 부양

 

 

#1. 미국 

1. 개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731연방기금금리(FFR)2.25~2.50%에서 2.00~2.25%로 내렸다.

2008 12월 이후 107개월 만이다. 연준은 당시 경기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0.00~0.25%로 인하하면서 사실상 ‘제로 금리’ 시대를 열었다. 연준은 이후 2015 12월 금리를 올리면서 긴축 기조로 돌아섰고 2016 1차례, 2017 3차례, 지난해 4차례 등 총 9차례 금리를 인상했다.

Fed가 긴축정책을 종료했지만 제롬 파월 의장이 “장기적 금리 인하 시작은 아니다”고 선을 그으면서 추가 금리 인하를 기대했던 투자자들에게 찬물을 끼얹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8010715001&code=970201#csidxb221cbfb841c8faa4a4233bf5b7c434 

 

2. 배경 

- Insurance cut 보험적 성격의 금리인하

: 연준은 성명에서 "미미한 인플레이션과 경제 전망을 위한 글로벌 전개 상황에 대한 '함의'에 비춰 기준금리를 인하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조치는 경제활동의 지속적인 확장과 강력한 노동시장 여건, 대칭적인 2% 목표 주변에서의 인플레이션 등이 가장 유력한 결과라는 위원회의 견해를 지지한다"면서도 "이런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덧붙였다.

연준은 가계 지출은 증가세를 보이지만 기업투자는 약해지고(soft)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과 변동성이 큰 식품,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이 12개월 전 대비 연준의 목표치인 2%를 밑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연준은 현재 경제가 완만한(moderate) 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노동시장은 강하다는 기존 평가를 유지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회의 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번 금리인하는 명확히(definitely) 보험적 측면"이라며 "장기적인 연쇄 금리 인하의 시작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3. 영향

- 미국 따라 전세계 여러 중앙은행 금리 인하

- 채권 가격 대폭 상승.

 

4. 향후 예측

- 앞으로 추가적으로 금리가 인하될 전망(0.5%까지 내려갈 것이라 전망하기도)

: 글로벌 경기 악재들 산재해 있는 상태.

1) 2년물·10년물 금리역전

2) 중국 경기침체

3) 독일 역성장

4) 아르헨티나·영국 불확실성 겹쳐

5) 트럼프, 연준에 금리인하 압박 

http://www.fnnews.com/news/201908151748591341

 

글로벌 금융시장 악재 쓰나미… 추가 금리인하 내몰린 연준

미국 금융시장은 14일(현지시간) 그야말로 공황 상태였다. 장단기 수익률곡선 역전이 확실해진 데다 전 세계 경제침체에 대한 공포가 겹치면서 폭락을 면치 못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친 수익률곡선 ..

www.fnnews.com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8/625931/

12(현지시간) 미국 경제방송 CNBC 보도에 따르면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9월과 10 FOMC에서 연속적인 금리 인하를 전망하면서 내년에도 4차례 추가 인하를 예상했다. 엘런 젠트너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통화 정책에서 검토하는 체크리스트를 따라가다 보면, 추가적인 금리 인하는 분명히 필요하다" "0.25%포인트 인하로 시작되겠지만 상황이 악화되면 인하 폭이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연준이 기존처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하향 조정한다면 내년까지 총 6차례, 1.50%포인트 금리 인하가 단행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2.00~2.25%인 기준금리가 0.5% 수준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의 마크 카바나 투자전략가도 CNBC "미·중 무역갈등이 계속 고조된다면 제로 금리도 가능하다"고 예상했다

 

 

#2. 한국

 

1. 개괄 

- 7월 중순에 금리 인하 단행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8기준금리를 연 1.5% 0.25%포인트 인하했다.

2016 6월 이후 31개월만의 기준금리 인하다.

미국보다 먼저 선제적 금리 인하.(미국은 731)

 

2. 배경

- 한국의 성장세 둔화 우려

: 기준금리 인하 발표와 함께 경제성장률 전망치 2.5% -> 2.2%로 하향 조정

한은이 이날 발표한 통화정책방향에서 “수출과 설비투자 부진이 심화하며 성장세가 둔화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수출과 설비투자 회복도 당초 예상보다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1)
부진한 수출한국 수출

: 반도체 부진에 수출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6월까지 7개월째 감소세. 지난 10일까지도 수출은 감소세를 보였다. 경기 둔화 방어 카드로 꺼냈던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집행도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다.

2)
불확실한 세계 경제

: 대외 상황도 그야말로 사방이 지뢰밭 수준이다. 휴전에 돌입했지만 미ㆍ중 무역분쟁은 언제든 세계 경제를 뒤흔들 수 있는 변수다. 이런 상황에서 등장한 일본의 수출 규제는 체력을 잃어가는 한국 경제에 ‘결정적 한 방’이 될 수 있다

 

3. 영향

-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 -> 영향력 있을지는 의문.

기존에 언급했던 세가지 경로 1.금리 경로 2. 환율 경로 3. 자산 경로 중에서 환율 경로만 작동할 것 같고, 나머지는 영향력 있을지 미지수

- 단순히 금리만을 보고 투자 의사 결정을 내리지는 않음. 현재 경제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금리가 내렸다고 투자하기보다, 상황을 보며 유보할 수도 -> 금리 경로?

- 자산 경로는 민간인의 주식 보유 성향이 높은 미국에 특징적. -> 자산 경로?

<-> 부정적 영향

- 은행, 보험 업계의 경우 큰 타격

: 저금리 -> 보험사: 부담해야 될 부채 가치 상승, 은행: 예대 마진 축소

- 부동산 가격 상승 가능성

: 기준 금리 인하 -> 예금 금리 인하. 은행 예금 외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곳으로 자산이 쏠림. 오갈 데 없는 자산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 주택 가격만 오르게 될 가능성 있음.

 

4. 향후 전망

연준의 금리 인하에 발맞춰 한국은행도 지속적으로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 다만 미국보다 금리가 1% 가량 낮은 상황이기에 그 속도는 늦을 수도

 

https://news.joins.com/article/23224210

 

#3. 유럽(간단) 

-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9월 중 금리인하를 예고

: 드라기 총재는 금리인하뿐만 아니라 과감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의지 확인, 추가 양적완화(QE)까지 곁들여질 것으로 예상했다.

- 현재 제로 금리. 하지만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돈에 대해 이미 -0.4%의 벌금성 금리를 물리고 있음.

- 현재 유럽 상황이 그다지 좋지 않은 데, 은행들이 벌금을 물린다고 대출을 늘릴까는 의문

 

 

#4. 장단기 금리 역전(Inverted yield curve)

 

1. 개괄

- 8 14 美국채 2(단기)-10년물(장기) 금리가 역전됨.

2007 6 이후로는 처음이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8/632538/

 

2. 주목하는 이유

- 통상적인 금리(단기<장기)

: 장기채는 자금을 오래 빌려 쓰는 만큼 단기채보다 장기채가 수익률(금리) 높은 통상적.

금융시장에서 단기 금리(금융 비용), 장기 금리(미래의 성장률) 뜻한다고  

<-> 이런 원칙에 역행하는 것은 경기침체를 예고하는 신호 여겨진다. (R 공포, Recession)

: 미래의 경기가 안 좋아질 것이라 예상하면 단기 자금 수요는 많아져 단기금리는 올라가는 반면,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안전한 장기채권을 사두려는 사람들이 많아져 장기 금리는 떨어짐.

(뭘 하더라도 지금 해놓고, 존버하자!)

 

특히 채권시장의 수익률 곡선 움직임은 경기변동을 미리 알려주는 선행 지표로 인식된다. 그동안 유럽과 중국 등에서는 경기침체 징조가 나타났지만 미국은 상대적으로 경제가 견고한 것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미국마저 경기침체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경고가 채권시장에서 흘러나오자 전 세계가 경기침체에 휩싸일 수 있다는 불안 심리가 더욱 커졌다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CS)에 따르면 1978년부터 40년 동안 채권시장에서 미 국채 10년물과 2년물 간 금리 역전이 발생한 것은 다섯 차례에 불과하다. 금리 역전이 발생하면 평균적으로 22개월 뒤에는 여지없이 경기침체로 이어졌다. 통상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분기 연속 감소세를 나타나는 현상을 리세션으로 정의한다

독일이 올 2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중국의 7월 산업생산이 17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는 소식이 알려졌는데, 이것이 이날 미국시장에서 금리 역전 현상을 일으킨 직접적인 도화선이 됐다

채권 투자자들이 이 같은 글로벌 경제의 움직임을 경제가 침체기로 접어들었다는 확실한 신호로 받아들인 셈이다. 끝을 가늠하기 힘든 미·중 간 무역분쟁이 실물경제에 본격적인 타격을 미치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8/632538/

설명 잘 되어있는 블로그 링크: https://blog.naver.com/hong8706/221617439446 

 

카드뉴스 9편 - 장단기 금리 역전, 불황으로 이어지나?

8월 14일 미국 채권시장에서 10년 만기 국고금리와 2년 만기 국고금리가 같아지자, 주가가 3% 이상 폭락했...

blog.naver.com

참고) 불황의 가능성 

최근 미 뉴욕연방준비은행(뉴욕연은)은 흥미로운 보고서 한 편을 내놓았다. 이 보고서에서 뉴욕연은은 장단기 금리차를 이용해 ‘1년 뒤의 불황확률’을 예측했는데, 여기서 장단기 금리차란 장기금리에서 단기금리를 뺀 것을 의미한다. 과거 미국 경제가 장단기 금리가 역전될 때, 다시 말해 장기금리보다 단기금리가 더 높아질 때 불황을 경험했던 것에 착안해 ‘1년 뒤의 불황확률’을 추정한 것이다. 뉴욕연은의 계산에 따르면 1년 뒤에 불황이 출현할 확률이 31.5%에 이른다고 한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816030008&wlog_tag3=naver#csidxbfc4d1fdbfa29f8af6d2d01b93385b7 

 

 

 

728x90
반응형
반응형

Windows 10,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

 

Windows 7 해결 방법만 인터넷에 나와있는데, 접근하는 루트가 windows 10과는 달라서 이해가 안갔음.

결국 해결책 찾아내서 공유하고자 함.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연결 > Wi-fi 마우스 우측 클릭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누르고, 속성 들어가기 > '자동으로 DNS 서버주소 받기'를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으로 바꿔줌 > DNS 서버 값. 인터넷에서 보고 치면 됨. 저기 입력되어있는 것은 SKT 것. 

 

728x90
반응형
반응형




E8 처음 사용할 때나 혹은 사용중에도 가끔 갑자기 페어링이 안될 때가 있습니다.


이것 땜에 한 시간 정도 쩔쩔 맸는데 ㅂㄷㅂㄷ 다음에도 발생할 것 같고, 다른 분들도 이 문제로 스트레스 받을 것 같아서 포스팅 남깁니다.

1. 우선 양쪽 이어폰 10초 정도 꾹 누르고 있어서 빨강 불빛 나오도록 합니다. 이게 기기 초기화 상태로 만드는 거랍니다.

2. 설정- 블루투스 가서 기존에 등록되어있는 beoplay e8 '등록 해제'시킵니다 -> 이 파트가 중요합니다. 이거를 몰라서 한참 뻘짓했습니다.

3. 다시 beoplay e8 작동시켜서 양쪽 5초 정도 눌러서 파란 불빛 나오도록 합니다(페어링할 기기 찾음).
이때 설정 - 블루투스에서 새로 'beoplay e8' 뜨면 이거랑 연결시키면 됩니다


후우.. 부디 다른 분들은 이 문제로 고생하지 않으시길..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공유경제가 대세인 시대이다. 우버의 예상 시총은 GM과 포드를 합친 것보다 클 것이라 예상되며, 중국과 동남아에도 이미 공유경제 교통수단 플랫폼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 오늘날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아직 마땅한 교통수단 공유경제 플랫폼이 등장하지 않은 상태였다.

일찍이 우리나라에 진출했었던 우버는 여러 규제 때문에 발을 뗀 상태였기에, 이런 선례로 인해 IT 기업들이 쉽사리 이 분야에 진출하지 않은 듯 했다.

그러다 다양한 분야에 발을 넓히고 있는 카카오가 이쪽에 진출을 시도했다. 우리나라만 여러 규제 때문에 세계의 공유경제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다면, 후에 관련 분야에서 기업들이 도태될 지도 모르며, 이미 공유경제 플랫폼으로 성장한 글로벌 기업들이 규제가 풀리게 되었을 때 시장을 장악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었기에 좋은 소식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역시 과거와 같이 택시 업계의 반발은 거셌다. 택시업계는 총파업을 강행했고, 여러 명의 택시기사분들이 카카오카풀에 반대해 분신하셨다. 충분히 이해되는 상황이다. 그들에게 택시는 생계 수단이며, 카풀 플랫폼이 활성화된다면, 그들은 일자리를 잃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더불어 택시업을 행하기 위해 투자되었던 권리금(택시 +택시 번호판)은 은퇴시 퇴직금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카풀 플랫폼이 허용된다면, 그 가격이 크게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뉴욕의 경우, 택시의 영업권이 우버가 활성화된 이후에 1/10 수준으로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고 한다.


이처럼 카풀 플랫폼 허용은 택시기사들에게는 생존의 문제이기에 극렬히 반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혁신, IT 산업 및 공유경제 플랫폼의 발전 vs 택시 기사의 생존권 보호'


기준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다른 결론이 나오기에, 쉽사리 경중을 가릴 수 없는 문제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이 연출된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혁신과 생계 보호를 동시에 이룰 수는 없는 것일까?


택시기사분들이 만약 택시를 그만두고도 재교육을 받아, 그 노동력을 다른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다면 어떠할까

성장하는 산업은 키우는 동시에, 그로 인해 규모가 축소되는 산업군의 노동력을 재교육해서 다른 산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면 이런 갈등을 미비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하지만 역시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본다면 썩 마음에 드는 것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이번 카풀 대란은 시작일뿐이라고 생각한다. 기술이 진보할수록, 단순 노동력이 덜 필요로 하는 상황이 다가올수록, 다른 산업군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영업자 비중이 25%라고 한다. 미국이 3% 정도 된다고 하는데, 그에 비하면 무지막지하게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개인이 자신의 생계를 온전히 책임지고 있는 인구가 많은 상황에서, 정부는 적극적이면서도 세심하게 정책을 수행해야할 것이다. 서툰 정책은 개인들에게 큰 고통으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정부는 여러 분야에서 늦은 상태이다. 특히 출산 대책에 관해서는, 실기한 지 매우 오래다. 그렇다고 가만히 있어서는 안된다. 다가오는 상황을 최대한 대비하기 위해 발버둥쳐야한다. 우리는 참고할 수 있는 사례들이 많다. 유럽도 있고, 가까운 대만, 일본도 있다. 지금 다가오고 있는 다양한 비상사태에 대해 여러 선례들을 참고해 최선의 대응방안을 마련해야만 한다.


'미래는 만들어나가는 것'이니까 말이다.



+) 최근에 공유경제 승차 플랫폼과 관련해 논쟁이 재가열되고 있고, 이에 대해 전 네이버 공동 창업자 김정호씨가 공유승차 플랫폼 '타다' 대표에 대해 개인들은 막대한 자금을 들여 택시를 운영하는데, 아무런 규제 없이 똑같은 승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다'를 운영하게 해달라는 것은 불공정한 게임을 요구하는 것과 같다며 비판했다.


이러한 논쟁은 공유 승차 플랫폼이 제대로 된 혁신이 맞는가? 사회를 진보시키는 혁신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단지 택시기사의 주머니로 가는 돈을 뺐어 신생 기업의 주머니에 채워넣는 것은 아닌가? 단지 혁신, 기술 진보라는 미명 하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줘야 하는 것 처럼 여론이 형성되곤 하지만, 과연 이런 플랫폼이 진정한 의미의 혁신인가는 논쟁거리가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경제 지표'와 이슈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증시 예측 및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금리 변화에 따른 자산 배분의 방식 변화를 표로 나타낸 유명한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입니다.

화살표는 금리의 방향을 말하는 것인데요. X는 금리가 고점일 때이고, Y는 금리가 저점일 때이지요. 올해 초만 해도, '금리 상승기이지만 아직 경기 확장 국면이므로 투자해야 된다 vs 아니다. 곧 경기가 꺾일 것이고, 그에 앞서 선행지표로 주가가 꺾일 것이니 주식을 팔아야 한다.' 라는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표에서 보자면 A2 국면인가, A3 국면인가 의견이 달랐던 것이죠. 하지만 18년 말인 현재, A3 국면에 근접했다는 것이 대다수 애널리스트, 경제 분석가들의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 때문에 이러한 견해가 형성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국제 상황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경기는 현재 활황 상태입니다. 실업률은 거의 50년 동안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고, 인플레는 안정적으로 2% 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보다 16배 정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대국(大國)임에도 불구하고 3%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경기가 좋다는 것은 경기가 정점에 이르러, 더 성장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의 경제는 양적 완화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좋은 상태였고, 성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다음은 미국의 S&P 지수(파란색)과 KOSPI(보라색)의 약 10년 동안의 흐름입니다.


미국의 증시는 2010년을 기준으로 약 2.6배 성장한 반면, 한국은 고작 20%밖에 성장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통해 알 수 있듯, 한국 경제가 오랜 기간 활기를 띄지 못했음에도 미국의 경제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우리나라가 좋은 적이 없었다고 해서, 다른 나라도 좋지 않았던 것은 아닌거죠.


이렇게 오랜 기간 성장해온 미국 경기는 언제 꺾여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기존의 사이클을 보면 항상 그래왔기 때문이죠. 경기가 좋지 않을 때, 금리 인하로 경기 부양을 했다가, 경기가 좋아지면 금리를 차차 올리고, 그렇게 되면 다시 경기가 나빠지는 그런 식으로요.


경기 불황 -> 금리 인하 -> 경기 활황 -> 금리 인상 -> 경기 불황


미국 경기가 꺾이게 되면, 현재도 별로 좋지 못한 전세계 경기가 꺾이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겠죠. 한국 증시는 마찬가지일테구요.



더불어,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 역시 앞으로의 한국 증시에 좋지 않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11월 중간선거가 끝났으니,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조절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는 데 실상은 그렇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對중국 압박은 단순히 트럼프만이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민주당 역시 표현 방식이 다르더라도 오바마 행정부 때부터 추진해오던 것입니다. 더불어 미국인의 7-80%가 트럼프의 對中 압박에 대해서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국민들 역시 정치적 성향과 무관하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동조한다는 것이죠. 때문에 트럼프의 對中 무역 압박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모두 수출국 TOP 5에 드는 나라이며, 중국에는 특히 중간재 수출품이 많기 때문에,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수록 한국 경제에는 불이익이 따를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다음은 국내 상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여러 경제 지표를 봤을 때 경기 전망이 밝지 않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정책이 실패한 것으로 비춰지며 여러 경제 지표들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는데요. 취업자 수는 지속적으로 月 10만 명을 넘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무리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신규 고용이 축소되고, 기존의 고용도 감축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IMF 등 주요 경제 기구들이 한국의 내년 예상 GDP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도 18년도에 추가적인 임금인상이 이뤄지게 된다면, 경기 위축이 심해지겠지요.


참고로, 10월 경기 동향에 따르면 가계 소득 하위층의 실질 소득은 크게 감소한 반면 오히려 가계 소득 상위층의 실질 소득은 늘어났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자영업자, 영세사업자와 같은 중산층이 임금인상으로 큰 타격을 입었으며, 이들이 고용을 줄임에 따라 피고용인인 하위층은 일자리를 잃거나, 일하는 시간을 줄이게 되거나 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공정 경쟁을 위한 경제 구조 변화는 실질적으로 이뤄지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무리한 임금 인상만을 시도하다보니 경제가 심하게 나빠졌습니다. 경제 투톱이 바뀌었긴 하나 기존의 경제 정책이 지속될 전망이니, 앞으로 경기는 나빠지면 나빠졌지 좋아지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 약 25% 정도를 차지하며, 증시 상승에 큰 역할을 했던 반도체 산업이 추가적인 성장이 가능할까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즉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가 앞으로도 증시를 이끌어나갈 수 있을까 하는 의견인데요. 이에 대해 아직 의견이 분분하지만, 현재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모두 주가가 올해 들어 많이 빠진 것으로 보아 시장 의견은 부정적인 듯 합니다. 기존에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 주요 반도체 생산자인 두 업체가 가격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고 해도 중국 업체들이 새로이 생겨나게 된다면 그 지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까 의문인 상황입니다. 기술 격차가 5~10년 정도 나기에 쉽게 그 지위를 내주지는 않을 것이나, 대중화된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를 생산할 수준의 기술까지는 빠른 시간 안에 따라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시장의 전망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북한 관련 이슈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몇 년, 빠르면 몇 개월 안에 북한 문제만 해결되면 한국 증시가 활황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데. 이는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북한 문제의 핵심 이슈인 북핵 문제 해결은 미국과 북한과의 문제지, 우리나라가 어찌할 수 있는 바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트럼프가 적극적으로 나서야지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므로, 우리나라가 아무리 발버둥쳐도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이미 11월 중간 선거가 끝났으며, 당분간 트럼프가 북한 카드를 사용할 만한 정치 이슈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지위에 위협적인 정치 이슈가 등장한다면 다시 북한 카드를 활용할 측면이 있으나, 당분간은 그럴만한 유인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북핵 문제의 해결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시 말해, 북한 문제 해결로 인한 국내 증시 상승은 요원한 일입니다.



앞서 보았듯 국제 상황, 국내 상황 모두 국내 증시에 긍정적이지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투자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한국의 PER는 국제 수준과 비교했을 때 확실히 낮습니다. 동종 업계를 비교해보아도 많은 차이가 납니다. 때문에 한국 기업들 중에 매력적인 주식은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는 수요가 있어야 상승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살펴 보았듯 한국 경제, 증시는 앞으로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외국인 투자자들 역시 한국에 투자를 조심하려하겠죠. 때문에 좋은 주식(내재가치 > 주가)을 찾더라도, 주가가 금방 오르기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에 좋은 주식을 찾게 된다면, 장기간의 안목을 가지고 투자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