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풀릴 듯 안 풀리는 미중 무역분쟁
사진 출처; 연합뉴스
올해 초부터 시작된 미중 무역분쟁이 5월이 끝나가는 시점까지 이어지고 있다. 다행히 시장이 적응이 됐는지 전과 같이 무역협상 결과에 따라 큰 진폭으로 요동치지는 않는다. 최근 상황은 다음과 같다.
19일 - 미·중 협상단이 두 차례 고위급 논의 끝에 공동합의문을 내놓으면서 무역갈등을 자제하기로 약속
22일 – 트럼프는 협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는 언급을 했고. 언제든 슈퍼 301조를 발행할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음
(여기서 '슈퍼 301조'란 불공정무역관행 보복을 규정한 법안. 미국이 대미 무역 흑자국들을 위협하는 수단)
이와 같은 미중 간의 무역 다툼은 트럼프가 자신의 지지층에게 호소하는 수단으로써 11월 美 중간선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심각한 무역 전쟁으로까지는 발전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누군가 져야하는 치킨 게임으로 몰고 가기에 서로 잃을 것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2. 신흥국 통화 위기
사진 출처; 연합뉴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3%를 돌파함에 따라 신흥국의 부채 상환 부담이 가중되었다. 이에 따라서 신흥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며 최근 아르헨티나를 시작으로 신흥국들 통화 가치가 폭락했다.
아르헨티나 – 2월에 비해 22% 평가절하
브라질 – 2월에 비해 18% 평가절하
터키 – 18%
러시아 – 11.1%
남아공 – 8.3%
이는 신흥국에서 막대한 자금 이탈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으며, 차후에 광범위한 구조적 위기로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다음은 관련 기사 내용을 일부 발췌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여러 금융 전문가들이 신흥국의 위기가 장기화될 것임을 예상하고 있다.
로빈 브룩스 국제금융협회(II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올해 글로벌 금리 상승폭이 2013년보다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이번 위기의 기저에 깔린 충격이 작아진 것인데도 수많은 신흥시장 통화가 2013년보다 훨씬 더 약해졌다”고 지적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도 “많은 나라가 레버리지 관리에 실패하면서 부채가 사상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면서 “심각한 돌발 리스크가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경제분석
업체인 옥스퍼드이코노믹스도
비슷한 관측을 내놓았다. 신흥국
중 가장 취약한 나라로 터키·브라질·칠레를
꼽았고 이들 3개국을
포함한 위험군에는 말레이시아·남아프리카
등을 추가했다.
출처
:
http://www.sedaily.com/NewsView/1RZLU05DO3
'Investment. Tech. & Economy > 투자.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증시 동향/ 2018년 증시 동향/ 밤장의 주간증시동향 (0) | 2018.10.15 |
---|---|
18년 10월 첫째 주 주간증시동향/ 18년 증시동향/ 밤장의 주간증시동향 (0) | 2018.10.05 |
2018 하반기 증시동향/ 2018년 9월 증시동향/ 주간증시동향 (0) | 2018.09.15 |
18년도 주식시장 상반기 결산, 하반기 전망 - 2편 (0) | 2018.06.25 |
18년도 주식시장 상반기 결산, 하반기 전망 - 1편 (0) | 2018.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