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단순히 내 돈으로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남의 돈을 끌어다가 (사모)펀드를 구성해 투자한다.
투자를 통해 수익을 내면 펀드에 출자한 투자자들에게 출자 비율대로 원금과 수익을 분배하고 펀드는 청산한다.
VC와 PE는 펀드 운용사로서 투자 대상 발굴, 투자자 모집, 투자 진행, 사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참고로 이러한 펀드 운용사의 역할을 GP(General Partner, 업무집행사원 또는 업무집행조합원)라고 하며 펀드에 출자하는 출자자를 LP라고 한다.
이와 같이 펀드 운용사 업무를 수행하며 VC/PE는 크게 세 가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1. 관리보수(운용보수)
- 위에서 설명했듯이 GP는 투자 대상 발굴(딜 소싱)로부터 투자 집행, 사후 관리, 투자금 회수(엑싯)까지 펀드 업무의 전반을 담당한다. 그에 대한 댓가로 GP는 펀드 사이즈(약정 총액)의 약 2% 정도를 관리보수로 수취한다.
2. Capital Gain(자본 이득, 시세 차익)
- GP도 펀드에 일정 부분 출자하기에 펀드 수익을 지분율만큼 분배받을 수 있다. 보통 지분증권(주식)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아, 펀드 수익의 주된 구성이 지분증권 매입 가격과 매도 가격의 시세 차익이기에 capital gain으로 표시했다. '자본 이득'보다 '캐피털 게인'이 더 통용되기에 capital gain으로 표현했다.
3. 성과보수
- 펀드의 목표 수익률(IRR, 보통 7-8%)를 넘는 수익금에 대하여 GP는 통상적으로 20% 정도를 성과보수로 가져간다.
예컨데, 펀드의 목표 수익률이 8%이고 펀드 규모가 100억원, 1년 동안의 펀드 수익금이 200억원이라고 한다면, 108억원(100억 원금 +8% 수익금)을 제외한 나머지 92억원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GP에게 20%를 분배하고(92억원*20%) 나머지 금액(92억원*80%)에 대해 출자 비율대로 분배한다.
수익 구조가 위와 같다보니 펀드 운용사의 경우에는 투자에 성공할 경우 투자금 대비 엄청난 수익을 벌 수 있다.
1)운용보수로 수익 기반을 만든 뒤, 2)자본 이득에 3)성과 보수까지 다 받아가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투자금 대비 몇배를 더 벌어갈 수도 있다. 그래서 잘나가는 운용사의 경우는 몇 년만에 회사 규모를 크게 키우는 경우기도 한다.
하지만 그만큼 펀드 비즈니스는 쉽지 않고, 남의 돈을 끌어다 쓰는 일이기 때문에 투자에 실패하게 될 시 타격이 크다. 회사에서 욕먹고, 투자자들한테 욕먹고. 선관의무(성실한 관리인의 의무)를 저버렸다고 판단된다면 소송에 걸릴 수도 있다. 더불어 크게 실패하게 될 경우 앞으로 펀드 비즈니스를 하기 어려워질 수도 있다. 투자자들은 내돈 까먹은 운용사에게 다시 기회를 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1년 반 가량 지난 지금, 투자/경제와 관련한 좋은 채널들이 새로 많이 생겨서 업데이트하고자 한다.
1. 팟캐스트
귀로만 들으면 되서 출퇴근 시간에 즐겨 듣는다. 직장인들에게 최적의 공부 경로인 것 같다.
- 김동환, 이진우, 정영진의 '신과 함께'
: 18년 초부터 시작한 방송이며, 그때부터 꾸준히 들었다. 세 MC의 인맥을 바탕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하는 팟캐스트기에 퀄리티가 매우 높다. 단순히 경제, 금융 분야뿐 아니라 정치, 역사 등의 분야에서도 전문가를 모시고 방송을 진행한다. 라디오의 경우 시간이 짧게 제한되어 있어 게스트들이 깊고, 많은 내용을 다루지 못하는데, 팟캐스트다 보니 시간 제한이 없어 게스트들이 여러 주제에 관해, 깊이 이야기를 해준다.
매일 아침, 다른 라디오 방송 처럼 코너의 성격과 게스트가 정해져 있는 Page2-Live라는 방송도 하고, 그 외에 비정기적으로 여러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긴 시간 방송을 진행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게스트가 좋았지만, 특히 좋았던 게스트는 금요일날 김일구 하나금융투자 상무,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김효진 이코노미스트, 박종훈 KBS 경제부장 등등... 김일구, 홍춘욱, 박종훈 등은 기존에 다른 매체들을 통해 접했었는데(책이나, 블로그, 기사 등) 직접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들으니 신기했다.
이 팟캐스트에서 좋은 점이 세 MC들이 궁합이 잘 맞는다는 것이다. 각자 컨셉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김동환 프로는 깊은 경제, 금융 지식을 바탕으로 게스트를 잘 인도해 나가고, 이진우 프로는 자신의 장기인 비유를 통해 경제 전문가들의 말을 풀어서 설명해주며, 크리티컬한 질문들을 던진다.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정영진 프로는 '경알못' 컨셉으로 경제 지식이 부족한 청취자들이 어려워할 수 있는 부분을 물어봐서 컨텐츠의 허들을 낮춰준다. 더불어 프로그램 진행이 유쾌하게 되도록 하는 감초 역할도 한다.
쓰다보니 몹시 길어졌는데, 아무튼 이 채널은 주변에 열심히 추천해주고 다니는 채널이다. 이런 채널이 생겨서 고맙다.
+ 작년부터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운영 중에 있으며, 현재 구독자 수가 100만이 넘었다. 이전에는 MC들의 인맥을 바탕으로 전문가들을 힘들게 모셔와 진행했는데, 이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서로 출현하고 싶어하는 채널로 성장했다. 초창기부터 방송을 청취했던 입장으로서 뿌듯하다.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신과 함께'가 생기기 전에는 이 채널을 통해 주로 경제 이슈를 접했다. 하지만 라디오 프로그램을 팟캐스트로 올린 것이기에, 개선될 수 없는 면이 있었다. 바로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경제 이슈에 따라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것도 많은데, 라디오 특성상 시간이 한정적이다 보니 항상 전문가 인터뷰를 하다가 급하게 방송이 종료된다. 그래서 좀 마음에 안들었다. 그래도 '신과 함께' 이전까지 열심히 들었던 방송이고, 지금도 괜찮은 주제를 다룬 날일 경우에는 찾아 듣는다.
: 이 채널들은 외국 채널인데, 듣기 연습도 할 겸사 듣는다. 경제 이슈만 다루는 것은 Bloomberg 채널밖에 없다. 다른 채널들은 경제, 정치 이슈들 모두 다루는데, BBC랑 Economist는 아무래도 영국 방송이다 보니 별로 관심 없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이야기도 많이 다뤄서(물론 중요한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이긴 하다) 미국, 중국 관련한 내용 다룬 방송만 듣는다. Wallstreet Journal은 너무 미국 specific한 내용들 많아서 걸러 듣는다.
2. 유튜브
이전에 글을 적을 때만 하더라도 유튜브 플랫폼이 지금처럼 활성화되지 않았고, 투자 관련한 전문가들도 많지 않았다. 작년 주식시장의 대폭락과 이후의 역대급 BULL장으로 인해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좋은 채널들이 많이 개설되었다. 간략한 설명과 함께 추천리스트를 아래 남긴다.
1) 삼프로TV 경제의 신과함께: 신과함께 팟캐스트의 유튜브 버전
2) 뉴욕주민: 뉴욕 헷지펀드 매니저의 유튜브 채널. 해외주식 정보 + 헷지펀드 트레이더의 삶을 엿볼 수 있음.
3) 소수몽키: 미국 배당주 투자 관련 채널
4) 슈카월드: 코로나+유튜브가 만들어낸 슈퍼스타 경제 유튜버. 재미+정보 모두 잡은 채널. 말은 재밌게 해도 내공이 있어 알차다
5) Rainmaker레인메이커: 숨어있는 보석 같은 채널. 투자 관련 마인드 세팅에 정말 좋음. 별이 다섯개!
6) 박종훈의 경제한방: 전문가 of 전문가. 드디어 유튜브 개설하셨음 ㅠㅜ 너무나 감격. 이분이 저술한 신작은 바로 사서 읽고, 출연하신 방송은 다 챙겨보는 편. 정말 정말 뛰어난 인사이트를 가지고 계심. 이론뿐 아니라 제시하시는 투자 전략은 실제로 유효함. 유튜브는 게스트를 인터뷰하는 형태로 진행.
7) 내일은 투자왕 김단테: 올웨더 포트폴리오 강조하시는 김단테님 채널. 올웨더는 자산 가격이 모두 상승해있는 현 시국에 적절한 포트폴리오가 아니라 판단하긴 하지만, 해외 투자 정보를 정말 빠르게 업로드해줘서 채널은 좋음.
8) 성공투자로 이끄는 계단 STEPS: 갓일구 애널리스트님 채널. 전문성 있게 투자/경제 관련 이슈를 분석해주심.
9) LIFEPLUS: 한화생명 채널. 슈카가 진행하는 마스터클래스 방송이 좋음.
10) 전인구경제연구소: 투자/경제 이슈뿐 아니라 실질적인 젊은 세대의 재테크 관련해서도 알려줌.
11) 박곰희TV: 주린이에게 강추강추!!! 재테크/투자 기본 지식 확립에 도움
12) 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 경제 전문가시기에 경제 이슈에 대한 분석의 깊이가 다름.
13) 변두매니저: 前 유명 펀드매니저 채널. 인사이트 굿굿
14) 미주부: 트렌드 및 해외 주식 투자 아이디어 얻는데 도움
15) 챔CHAM: 박곰희TV와 더불어 주린이에게 강추
16) 채상욱TV: 前 베스트 애널리스트 채널. 부동산/주식 관련 정보.
17) The Millk: 해외주식 정보
18) 월천만원자본소득 월천티비: 배당주/해외주식 정보
쓰다보니 많다.. 밑줄 친 유튜브는 퀄리티 대비 아직 덜 유명한 채널들이다.
3. Remember now(리멤버 나우)
: 모바일에 최적화되어있는 상태로 제공되는 경제 이슈 기고 채널(?)이다. 명함 APP인 Remember에서 만든 채널인데, 글을 기고하는 사람들이 경제 전문가들이어서 좋다. 산발적인 뉴스들 보는 것보다 여기서 정보 얻는 것이 잘 정리되어 있고, 좋다. 기고자로는 이진우, 채상욱, 홍춘욱, 이철민 등이 있다. '신과 함께'에 출연한 게스트들이기도 하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