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blog.naver.com/hahehi456/222194691721

 

[배민 인수 정리] 골치 아파진 딜리버리히어로 - 배민 사고, 요기요 판다

글로벌 음식 배달 업체들을 자회사로 소유하고 있는 '딜리버리히어로(이하 "DH")'가...

blog.naver.com

 

글로벌 음식 배달 업체들을 자회사로 소유하고 있는 '딜리버리히어로(이하 "DH")'가 골치가 아파졌다.

배민 인수를 통해 한국 배달 시장 다 먹으려다가 공정위 때문에 그럴 수 없게 되었다 ㅋㅋ

 

[상황 정리]

1. 배달 플랫폼 '요기요'를 이미 소유하고 있던 DH는 19년 12월 배달의 민족(배민)을 인수하기로 결정함.

2. DH가 배민을 인수하게 되면 과점인 상황이 됨.

- 2020년 9월 기준, 배달앱 업체 점유율(이용자 수 기준)

: 배달의민족 59.7%, 요기요 30.0%, 배달통 1.2%

-> 합병 이후 DH 자회사의 합산 점유율은 90.8%에 이른다.

(최근에는 쿠팡이츠 때문에 수치가 좀 다를테지만 그렇게 큰 차이는 없을 것..)

3. 과점 이슈 때문에 공정위에서 DH의 배민 인수를 조건부 허용함

- 그 조건이 바로 6개월(늘리면 1년) 내에 DH가 요기요 지분 전부를 제3자에게 파는 것임

 

[생각해볼 점]

1. 난처해진 DH의 입장

- 내 기업이었던 요기요는 제3자에게 팔리는 즉시 직접적인 경쟁자가 된다.

온라인 배달 시장이 지금도 커지는 추세이긴하나, 많이 보급된터라 이전보다는 그 성장세가 둔화될 수밖에 없고 '쿠팡이츠'와 같은 신규 시장진입자들로 인해 M/S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음.

곧 적군이 될 장수가 무럭무럭 자라게 둘 수는 없을터인데.. DH는 고민이 많을 듯..

 

2. DH가 이번 거래를 통해 얻은 것이 무엇?

- 'DH의 배민 인수' 원래 목적은 한국 배달 시장을 다 먹어치우는 것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무산되었다. 더불어 DH가 배민을 저렴한 가격에 인수한 것도 아니다(거래 당시만 해도 파격적이라 할 정도의 가격에 인수했다). 그렇다면 거래 결정 당시 배민의 가치 산정에 쓰인 PER 등을 적용해서 요기요도 비슷한 수준으로 팔아야지 손해보지 않는 장사라 할 수 있다. 쉽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 결국 DH가 실질적으로 얻은 것은 배민 '김봉진' 대표.

: 김봉진 대표 및 배민 경영진은 DH에 지분을 팔면서, 현금 대신 DH의 지분을 받았다. 그리고 DH는 김봉진 대표에게 DH 아시아 의장 자리를 맡겼다. 배민을 한국 대표 배달 업체로 성장시킨 김봉진 대표의 능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배달 업계를 장악해보겠다는 것이 DH의 의도인 것이다. 한국을 넘어 아시아 배달 시장에서 김봉진 대표의 역량이 먹혀들어간다면 DH의 이번 베팅은 수십배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성공적인 투자인 것이다.

 

3. 요기요를 누구에게 팔까?

- 위에 언급한대로 DH는 배민 인수 조건으로 요기요를 팔아야 한다.

- 요기요의 시장 가치는 약 2조원대로 추산된다. 물론 비상장기업들의 기업 가치는 너무 고평가된 경우가 많다.

- 이정도 규모의 기업을 살만한 곳은 많지 않다.

1) 단순히 FI(재무적투자자)로 참여하는 곳보다는, 분명히 자신의 비즈니스모델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SI(전략적투자자)가 더 가능성이 높다. 이미 높게 평가된 기업가치의 요기요를 인수하게 되면 재매각을 통해 수익을 실현하는 FI 입장에서는 high(middle) risk, low return을 기대하게 된다. 때문에 매각을 통해 수익 실현할 필요 없이, 내 사업 영역의 한 부분으로 가지고 가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SI가 투자하기 유리한 입장이다.

2) 한편 DH는 요기요의 경영진이 아니다. 즉 요기요를 팔면 DH는 더이상 요기요와는 관련 없는 존재가 된다(물론 그보다 복잡한 관계일 것이다). 때문에 매각을 통해 cash out하고 싶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만한 현금 또는 그에 상당하는 주식을 넘겨줄 수 있는 곳이 현실적으로 인수가 가능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기사들을 보면, 쿠팡, 위메프 등 비상장 유통사들이 물망에 오르는데, 이 기업들은 대부분 적자를 보고 있다. 때문에 100% 지분 스왑 등으로 요기요를 인수할 수 있을텐데, 현금이나 현금화할 수 있는 주식(상장 주식)을 선호할 DH 입장에서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SI이면서, 현금 또는 현금화할 수 있는 지분(상장 증권)을 넘길만한 곳은 어딜까?

물망에 오를만한 곳은 네이버, 카카오 등 대표 IT 기업들이다.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요기요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접점도 많고, 충분한 현금을 지니고 있으며, 지분 스왑을 해도 상대방이 좋아할 만한 기업이다.

 

물론 위에 끄적인 내용들과 상관없이 '가장 비싼 값을 부른 곳'에 넘어갈 것이다 ㅋㅋ

 

DH가 공정위의 조건을 수용해 배민을 인수할지말지에 대해서는 결정이 났으니, 이제 DH가 요기요를 누구에게 파느냐만 남았다. 앞으로가 궁금해진다.

 

끝.

 

아래는 참고한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191213074051030

 

배달의민족, 요기요 운영사에 매각…4조8천억원 M&A 성사(종합) | 연합뉴스

배달의민족, 요기요 운영사에 매각…4조8천억원 M&A 성사(종합), 이태수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19-12-13 12:21)

www.yna.co.kr

 

공정위, ‘배민·요기요’ 인수 승인…‘요기요 6개월 내 매각’ 조건

공정위 “소비자혜택 감소, 음식점수수료 인상…경쟁제한 우려 커” 결합 조건부 허용했으나…배민 과연 수용? 합병딜 무산?

www.hani.co.kr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421&aid=0005073576

 

[단독]독일 딜리버리히어로, 요기요 버리고 배민 품는다

(서울=뉴스1) 송화연 기자 =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운영사)을 인수하려면 '요기요'를 매각하라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조건부 승인 결정을 수락하고 요기요 매각에 나

news.naver.c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22813403976239

 

주객전도? ‘요기요’ 팔고 ‘배민’ 얻은 속사정 보니(종합) - 머니투데이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배달의민족(이하 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 인수를 위해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결합 승인 조건으로 제시한 ‘요기요’ 매각 명령을 전격 수...

news.mt.co.kr

https://www.news1.kr/articles/?4163748

 

딜리버리히어로, 요기요 포기하고 김봉진發 '배민 성공DNA' 샀다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728x90
반응형
반응형

[원문] blog.naver.com/hahehi456/222186906242

 

신기술사업금융업?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신기술사업금융업자가 되면 무엇이 좋은가?

http://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0/06/23/0007최근 삼성증권이 신기술사업금융업 라이센스를...

blog.naver.com

 

최근 삼성증권이 신기술사업금융업 라이센스를 취득하고자 준비 중이라는 기사를 보았다.

http://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0/06/23/0007

 

삼성증권 '늦깎이' 신기술사업금융업 등록 추진 눈길

삼성증권이 신기술사업금융업 등록을 추진한다. 지난 2016년 증권사들에게 일찌감치 허용된 후 검토만 거듭하다 '늦깎이'로 진출하면서 눈길을 모은다. 23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삼성증권은

news.bizwatch.co.kr

신기술사업금융업은 무엇이며, 왜 신기술사업금융업자가 하려고 하는 것일까?

금융회사의 자기자본 외에도 다른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운용하기 위해서는 펀드를 설립해야한다.

세법상의 이슈(투자자의 펀드 수익에 대해서는 비과세이다 어짜피 법인세로 내게 되기에..), 불법적인 자금 거래 방지 등의 목적으로 공모 펀드이든, 사모 펀드이든 법적으로 규정된 펀드에서만 자금을 모집하고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자기 마음대로 계좌를 터서 다른 투자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모아 투자를 진행한다면, 불법적인 자금거래로 보고 국세청에서 세무조사가 들어올 것이다 ㄷㄷ

각각의 펀드 형태(펀드 Vehicle이라 한다)는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신기술사업투자조합(신기사조합)'과 '한국벤처투자조합(KVF)'은 '신기술사업금융업자'가 운용할 수 있는 펀드 Vehicle에 속한다.

즉, '신기술사업금융업' 라이센스 취득을 통해 비상장기업에 투자하는 펀드 설립 및 운용 업무를 할 수 있다. 흔히 사모펀드(PEF)라 불리우는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라는 펀드 Vehicle도 있으나, PEF는 다양한 측면에서 운용하기 까다로운 비히클이다.

각 펀드 비히클의 관련 법령 및 소관 부처를 생각해보면 감이 온다.

1. PEF(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 자본시장법, 금융위원회(자본시장과, 자산운용과, 공정시장과)

2.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여신전문금융업법, 금융위원회(중소금융과)

3. KVF(한국벤처투자조합) - 벤처투자법, 중소기업벤처부

PEF는 우리나라 금융 법률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자본시장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금융위 소관이고 관련 부처도 다양하다 ㅋㅋ 그만큼 금융위에 보고해야될 부분도 많으며, PEF는 하나의 법인이기에 금융회사에서도 설립 및 운용하는 데 있어 다양한 등록 절차를 거쳐야한다.

반면 신기사조합의 경우, 여전법을 근거법으로 하며 KVF는 벤처투자법을 근거법으로 한다. 더불어 법인이 아니다. 그만큼 금융 당국의 감시, 감독이 덜하기에 펀드를 설립하고 운용하기에 PEF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하다.

이중에서 가장 편한 것은 신기사조합이다. 법률에 명시적으로 규정된 부분이 적다보니, 운용하는 데 있어 운신의 폭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자금을 투자에 사용하지 않고 빼돌린다거나 하는 지극히 불법적인 형태로 펀드를 운용하지 않는 이상, 사실상 법률 위반을 이유로 금융 당국이 제재를 가한다거나 할 수 없는 것이다.

요컨대, 운용할 수 있는 펀드 비히클을 확보하기 위해 역량이 되는 금융회사의 경우 신기술사업금융업자가 되고자 하며, 삼성증권도 그중에 하나라 할 수 있겠다.

인터넷에 이와 관련한 내용이 딱히 없는 것 같아, 정리해보았다. 

관련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원문] blog.naver.com/hahehi456/222138795652

 

[하이퍼커넥트] 영상채팅 앱 아자르Azar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10/1040802/창업자는 안상일 대표다. 전 세계 사람들을 빠...

blog.naver.com

 

하이퍼커넥트 로고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10/1040802/

 

[영업이익 강소기업] (11) 하이퍼커넥트 | 영상 대화 ‘손바닥 위의 지구촌’ 대박

2014년 창업 후 4년 만인 2018년 매출액 1000억원 돌파. 영업이익 172억원을 기록해 이익률 15%를 가뿐하게 넘어섰다. 지난해 또 한 번 기록을 갈아치웠다. 매출액 1689억원, 영업이익은 200억원을 돌파(2

www.mk.co.kr

 [기사내용 발췌]

2014년 창업 후 4년 만인 2018년 매출액 1000억원 돌파. 영업이익 172억원을 기록해 이익률 15%를 가뿐하게 넘어섰다. 지난해 또 한 번 기록을 갈아치웠다. 매출액 1689억원, 영업이익은 200억원을 돌파(203억원)했다.

창업자는 안상일 대표다. 전 세계 사람들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2014년 3월 창업했다. 영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아자르’와 자회사 무브패스트컴퍼니에서 서비스하는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하쿠나 라이브’가 주력이다. ‘아자르’는 전 세계 230개 국가에서 19개 언어로 서비스하고 있다. 앱 다운로드 수만 5억건을 넘어서면서 ‘손바닥 위의 지구촌’이라는 애칭으로 유명하다. 이 중 해외 이용자 비율이 약 99%에 달한다. 지난해 구글플레이 유럽 전체 비게임 앱 매출 부문 4위, 올해 1월 전 세계 구글플레이 비게임 매출 부문 6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선보인 ‘하쿠나 라이브’ 성장세도 만만찮다.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도 안 된 올해 3월 1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데 이어 올 7월에는 누적 1500만건을 넘어섰다. ‘아자르’를 뛰어넘는 성장 속도다.

아자르가 ‘1:1’ 영상 대화가 가능한 서비스라면 ‘하쿠나 라이브’는 최대 4명이 지연시간 없이 동시에 방송을 진행할 수 있는 ‘게스트 모드’ ‘AR 아바타 기능’ 등으로 보다 차별화했다. 일본, 인도, 중동 등에서 큰 호응을 얻었고 하반기부터는 각국의 흥행 노하우를 바탕으로 출시 국가를 넓혀 나갈 예정이다.

아자르는 무료 회원 가입이 원칙이다. 영업이익은 어디서 나는 걸까.

비결은 아이템인앱결제(앱을 켜면 앱 내에서 각종 구매가 가능토록 설계)에 있다.

아자르를 예로 들면 일단 앱 다운로드를 하면 기본 기능은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추가 기능을 이용하려면 유료 아이템을 구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자르 무료 사용자는 대화 상대를 ‘자동(국내, 글로벌)’ 혹은 ‘국내만’, 이도 아니면 ‘글로벌(특정 지역 구분 없음)’ 이렇게 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영어를 배우고 싶다고 하면 미국이나 캐나다 지역으로 설정해야 하는데 이때부터는 유료다. 그래야 지정한 국가 사용자와 매칭 확률이 그만큼 높아진다. 프로필 사진이나 닉네임을 변경할 때도 처음 설정할 때는 무료지만 추가로 변경하려면 아이템 스토어를 통해 구매해야 한다. 또 기본 세팅은 정면 카메라로 돼 있지만 추가로 후면 카메라를 사용한다든지, 프로필에 스티커 같은 배지를 붙인다든지 등 소소한 기능을 선택할 때도 유료 결제를 해야 한다.

-------------

 

Source: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10/1040802/

 

매출액 및 영업이익보면 ㄷㄷ함.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177억 정도이니 성장세 고려한다면 올해 400억 정도 영업이익이 나올 것으로 생각됨. 비상장기업인데 이미 저정도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 거면 매우 대단..bb

사람들의 시간을 빼앗는 플랫폼 어플들 - 대표적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등 - 은 대부분 미국이나 중국에서 만들어졌고, 그 기업들의 가치는 어마어마함.

아자르는 국제적으로 5억명이 다운받았다고 하며, 아자르를 제작한 하이퍼커넥트 역시 기업가치가 1조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됨. 베스트 시나리오는 플랫폼을 소유하고 싶어하는 미국이나 중국의 대형 IT기업에게 인수되는 것.

인스타그램은 페이스북에, 트위치는 아마존에, 링크드인은 MS에 인수된 바 있고, 글로벌 IT 회사의 경우 기업을 인수함에 있어 시장에서 평가한 가격보다 훨씬 비싸게 돈주고 인수하는 경우도 많아서 수조원대 빅딜이 될 수도.. 물론 국뽕에 찬 뇌피셜이지만..

하이퍼커넥트의 전략에서 볼 수 있듯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같이 국제화가 어렵지 않은 영역의 경우 시작부터 국내보다 훨씬 큰 시장인 해외를 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함.

내가 시장에서 마주칠 규모의 딜은 아니겠지만, M&A나 펀드레이징 관련해 좋은 소식 있으면 좋겠다 ㅎㅎ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