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쁜 사마리아인들] 서평


 이 책은 강대국들이 소위 사악한 삼총사로 불리우는 국제금융기구들을 통해서 개발도상국들에게 어떠한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강요하고 있고, 이것이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가 파헤치고 있다. 책에서는 자유무역, 민영화, 금융 개방 등 신자유주의의 핵심 이념들이 어떤 식으로 개도국의 발전을 방해하고 있는지 설명하며, 반대로 어떤 식으로 원조가 이뤄져야 개도국의 진정한 발전에 도움이 되는가를 역설하고 있다.

우리가 사는 세계,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신자유주의적 이념, 정책들이 당연한 것으로 자리매김해왔다. IMF 이후 우리나라는 금융 시장을 개방했고, 자유무역을 위한 여러 기구에 가입했으며, 여러 분야를 민영화했다. 현실이 온통 신자유주의의 테두리 안에 놓여있기에 이 상황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것이 자연스럽다.

저자는 이처럼 현실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생각하지 않는 독자들에게 꿀밤을 먹인다. 신자유주의라는 이데올로기와발전을 위한것으로 여겨지는 여러 정책들이 당연한 것은 아니며, 언론에서 해악이라고 외쳐왔던 여러 보호주의적인 정책들이 국가의 발전 수준에 따라서는 올바른 것이며, 마땅히 취해야 할 것이라 저자는 역설한다.

개발도상국들은 진정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힘을 비축해야한다. 그들이 힘을 비축하는 데 있어 신자유주의적인 정책은 독약이다. 관세 철폐를 통한 자유 무역은 개도국들이 자국 내 유치 산업을 성장시킬 수 없도록 한다. 세계 시장에 나아가 경쟁력을 길러야 한다는 것은 어린 아이에게 헤비급 챔피언과 시합을 해야 강해질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이야기다. 어느 정도 성장하지 못한 후에 시장을 열게 되면, 생산성과 기술력이 떨어지는 개도국의 기업들은 금방 도산하고 만다. 물품에 부과하는 관세의 필요성이 신자유주의에 맞서는 가장 중요한 정책이긴하나, 책에는 이외에도 공기업의 필요성, 개도국에 한정된 지적재산권 공유, 외국인 투자 규제의 필요성 등과 같이 신자유주의 정책과 배치되는 여러 정책을 제시하고, 이러한 정책들이 개도국의 발전에 진정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이처럼 개도국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정책이신자유주의의 이름으로 국제금융기구(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를 통해 강요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가 책을 출판한 시점은 07년이며, 리먼 사태를 기점으로 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벌어지기 전이다. 10년이 지난 현재도 국제금융기구들은 이전과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을까?

미국발 금융위기를 바탕으로 국제금융기구들은 조금씩 변화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금융위기를 통해 신자유주의적인 정책이 위기에 대한 적절한 처방이 아니었음이 드러났고, 위기 수습 과정에서 미국은 개도국에 위기가 왔을 때의 IMF 처방과는 완전히 상반되는 통화 정책을 시행했다. IMF는 개도국의 위기에 대응해 재정건전화를 위한 긴축과 안정적인 인플레를 위한 높은 금리 인상을 요구한 반면, 미국은 위기에 대응해 0% 수준의 저금리 정책을 사용했으며, 더 나아가 양적 완화라는 비전통적인 통화 정책까지 시행했다. 이로 인해서 위기 수습 이후 미국의 국가 부채 비율은 급격하게 상승했다. 이러한 미국의 위기 수습 정책은 과정 상 여러 문제점이 포착되었지만 유효했으며, 이후 위기가 금융 시스템의 붕괴로 확대되는 것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2년도에 PIIGS 국가들을 중심으로 유럽 재정위기가 생겼을 때도,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는 비슷한 처방을 통해 위기를 극복했다.

이와 같은 경험 이후 국제금융기구 내부에서도 기존 신자유주의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성찰이 있었다.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16년도에 ‘Neoliberalism: Oversold?’라는 제목으로 IMF가 발간한 보고서인데, 이 보고서에는 기존 IMF가 시행했던 방안들이 개도국의 발전에 유효했는가 성찰해보는 내용을 담겨있다. 이에 따르면 IMF가 개도국에게 강요했던 긴축 정책과 자유 방임 정책이 위기 대처에 적절하지 못했으며, 불평등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IMF의 반성적인 내용이 담긴 보고서와 더불어 위기 이후 국제금융기구의 양태를 서술한 외부 보고서에 따르면[1], 오늘날 국제기구들은 무조건적인 긴축을 요구하지 않으며, 위기 대응에 있어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더불어 안정적인 인플레이션을 유지하기 위해 무조건적으로 높은 금리를 강요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국제금융기구의 신자유주의적 정책 기조가 바뀐 것은 아니다. 16년도 당시 IMF 총재인 Maurice Obstfeld는 앞서 언급한 IMF의 보고서와 관련해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 보고서는 IMF의 정책 기조 전반의 큰 전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2]라고 IMF의 기조 전환에 대해서 일축했다. 실제로 IMF가 차관을 제공하는 국가에게 요구하는 정책 개혁 중에 고용 유연화, 공적 부문의 축소, 연금 지급액 축소 등의 신자유주의적인노동 정책'은 여전히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남아있다.

요약하자면, 국제금융기구들은 미국발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변해가고 있지만, 그 변화의 속도는 더디다.

그렇다면 사악한 삼총사의 미래는 어떠할까? 현재의 국제 상황을 고려했을 때 향후 몇 년 간은 기존의 신자유주의적인 정책을 집행하는 정도가 완화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국제금융기구들이 설립된 지 오랜 기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미국은 IMF 16.7%에 달하는 지분을 소유하고 있고, 중요 의제에 관해서 거부권(veto) 행사할 수 있다. , 아직 미국의 입김은 국제금융기구에 지대한 것이다. 그런데, 트럼프의 집권 이후 미국은 보호무역주의를 강하게 외치고 있다. 신자유주의 정책에 있어 자유무역은 중심적인 것인데 트럼프는 국제금융기구가 지향하던 바와는 정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중국이 오히려 자유무역의 수호자로서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심지어는 WTO에 중국이 미국을 자유 무역을 파괴하는행위로 제소하는 사건도 벌어졌다. 이와 같은 미국의 일탈 행위로 인해 앞으로 국제금융기구들은 기존에 펼쳐오던 신자유주의적 색채를 완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편, 책을 읽어가며 가슴이 서늘했던 부분이 있기도 했다. 한국이 6-80 년대의 성장기에 국제금융기구들로부터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강요받았다면, 남미, 아프리카 혹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같이 제대로 된 성장을 이루지 못한 채 여전히 후진국의 모습으로 남아있었을지도 몰랐다는 생각 때문이다. 대내외적 상황이 한국이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투자가 많이 필요한 산업에 힘을 쏟을 수 있도록 도와줬기 때문에 한국은 현재와 같이 나름 건실한 경제를 지닐 수 있었다. 한국이 전후 황폐해진 국가에서 한강의 기적을 이뤄낼 시점에 미국은 소련과 한창 냉전 중이었다. 때문에 적극적으로 우방을 지원해주었고, 개도국의 위치에 있는 우방들이 관세 장벽을 통해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성장해가는 것을 묵인해주었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발전기 때 지도자 및 관료들은 부패했던 부분도 있었지만 그 정도가 다른 나라의 지도자들 보다는 덜 했으며, 자신의 사리사욕을 챙기는 것을 넘어서 국가 발전을 위해 장기적인 투자를 감행했다. 특히박정희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많지만, 유신 체제 전의 박정희가 전형적인 발전 국가 모델을 수행함으로써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했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요컨대, 우리나라는 성장기 때 미국의 승인과 지도자 및 관료들의 의지가 시의적절하게 만났기 때문에한강의 기적을 이룰 수가 있었던 것이다. 만약 시기를 놓쳐 강대국들의 압력으로 인해 관세를 인하해 유치 산업 육성에 실패하게 되었다거나, 국가 발전보다는 사리사욕에만 몰두하는 부패한 지도자 및 관료들에게 국정이 운영되었다면, 우리나라 역시 남미의 몇몇 국가 혹은 사하라 이남의 대다수 아프리카 국가들과 같이 저개발된 상태로 남아있을 뻔할 수도 있었던 것이다. 국민들의 노력으로만 이루어졌다고 생각했던 오늘날 한국의 모습이 여러 행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생각하니 섬짓했다.

이러한 생각을 정리해보자면, 국가 발전에 있어서는 대외적 조건과 대내적 조건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국가 발전에 필요한 대외적 조건에 대해 서술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때문에 국제금융기구들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선진국들은 협의를 통해 바람직한 개도국의 국가 발전을 위한 대외적 조건을 조성해줘야 한다는 것으로 책의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하지만 개도국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내적 조건 역시 필수적이다. 즉 개도국의 지도자와 정치 엘리트들이 사욕 보다는 장기적인 국가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점에 대해서 마땅한 모범 답안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따른다. 어떠한 방식이든 단점이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선 독재가 부패의 원인이기에 민주화를 통해서 부패를 해결할 수 있는가 하면 그것도 아니다. 민주화를 이룩한 여러 국가들 중에서도 좌파, 우파 포퓰리스트들에 우매한 대중들이 현혹되어 국가 발전에 해()가 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던 혹은 나아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풍부한 천연자원이 존재하는 국가들의 경우에는 자원으로 벌어들인 국고를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건실한 경제 체제를 만드는 데 사용하지 않고, 일시적인 복지 혹은 지도자의 부정 축재에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한편 애국심이 투철한 엘리트를 외부의 개입으로 지도자로 앉힐 수 있는가 하면 그것은 대중의 반발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며, 오히려 개도국이 선진국에 더 쉽게 장악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처럼 개도국의 발전을 위한 대내적 조건을 어떻게 형성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정석이라 할 만한 답이 존재하지 않는 듯하다.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통해 대외적 조건을 익혔으니, 대내적 조건은 스스로의 과제로 남긴 채 서평을 마친다.



[1]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s Agents of Neoliberalism’ – Sarah Babb and Alexander Kentikelenis - http://www.kentikelenis.net/uploads/3/1/8/9/31894609/babbkentikelenis2018-international_financial_institutions_as_agents_of_neoliberalism.pdf

[2] 원문의 표현은 “THAT ARTICLE HAS BEEN WIDELY MISINTERPRETED—IT DOES NOT SIGNIFY A MAJOR CHANGE IN THE FUND'S APPROACH.”, - https://www.imf.org/en/News/Articles/2015/09/28/04/53/sopol060216a

728x90
반응형

'독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이슈 정리] 1. 미중 무역 분쟁  (0) 2019.06.28
반응형

'경제 지표'와 이슈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증시 예측 및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금리 변화에 따른 자산 배분의 방식 변화를 표로 나타낸 유명한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입니다.

화살표는 금리의 방향을 말하는 것인데요. X는 금리가 고점일 때이고, Y는 금리가 저점일 때이지요. 올해 초만 해도, '금리 상승기이지만 아직 경기 확장 국면이므로 투자해야 된다 vs 아니다. 곧 경기가 꺾일 것이고, 그에 앞서 선행지표로 주가가 꺾일 것이니 주식을 팔아야 한다.' 라는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표에서 보자면 A2 국면인가, A3 국면인가 의견이 달랐던 것이죠. 하지만 18년 말인 현재, A3 국면에 근접했다는 것이 대다수 애널리스트, 경제 분석가들의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 때문에 이러한 견해가 형성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국제 상황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경기는 현재 활황 상태입니다. 실업률은 거의 50년 동안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고, 인플레는 안정적으로 2% 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보다 16배 정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대국(大國)임에도 불구하고 3%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경기가 좋다는 것은 경기가 정점에 이르러, 더 성장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의 경제는 양적 완화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좋은 상태였고, 성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다음은 미국의 S&P 지수(파란색)과 KOSPI(보라색)의 약 10년 동안의 흐름입니다.


미국의 증시는 2010년을 기준으로 약 2.6배 성장한 반면, 한국은 고작 20%밖에 성장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통해 알 수 있듯, 한국 경제가 오랜 기간 활기를 띄지 못했음에도 미국의 경제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우리나라가 좋은 적이 없었다고 해서, 다른 나라도 좋지 않았던 것은 아닌거죠.


이렇게 오랜 기간 성장해온 미국 경기는 언제 꺾여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기존의 사이클을 보면 항상 그래왔기 때문이죠. 경기가 좋지 않을 때, 금리 인하로 경기 부양을 했다가, 경기가 좋아지면 금리를 차차 올리고, 그렇게 되면 다시 경기가 나빠지는 그런 식으로요.


경기 불황 -> 금리 인하 -> 경기 활황 -> 금리 인상 -> 경기 불황


미국 경기가 꺾이게 되면, 현재도 별로 좋지 못한 전세계 경기가 꺾이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겠죠. 한국 증시는 마찬가지일테구요.



더불어,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 역시 앞으로의 한국 증시에 좋지 않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11월 중간선거가 끝났으니,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조절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는 데 실상은 그렇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對중국 압박은 단순히 트럼프만이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민주당 역시 표현 방식이 다르더라도 오바마 행정부 때부터 추진해오던 것입니다. 더불어 미국인의 7-80%가 트럼프의 對中 압박에 대해서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국민들 역시 정치적 성향과 무관하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동조한다는 것이죠. 때문에 트럼프의 對中 무역 압박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모두 수출국 TOP 5에 드는 나라이며, 중국에는 특히 중간재 수출품이 많기 때문에,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수록 한국 경제에는 불이익이 따를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다음은 국내 상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여러 경제 지표를 봤을 때 경기 전망이 밝지 않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정책이 실패한 것으로 비춰지며 여러 경제 지표들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는데요. 취업자 수는 지속적으로 月 10만 명을 넘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무리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신규 고용이 축소되고, 기존의 고용도 감축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IMF 등 주요 경제 기구들이 한국의 내년 예상 GDP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도 18년도에 추가적인 임금인상이 이뤄지게 된다면, 경기 위축이 심해지겠지요.


참고로, 10월 경기 동향에 따르면 가계 소득 하위층의 실질 소득은 크게 감소한 반면 오히려 가계 소득 상위층의 실질 소득은 늘어났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자영업자, 영세사업자와 같은 중산층이 임금인상으로 큰 타격을 입었으며, 이들이 고용을 줄임에 따라 피고용인인 하위층은 일자리를 잃거나, 일하는 시간을 줄이게 되거나 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공정 경쟁을 위한 경제 구조 변화는 실질적으로 이뤄지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무리한 임금 인상만을 시도하다보니 경제가 심하게 나빠졌습니다. 경제 투톱이 바뀌었긴 하나 기존의 경제 정책이 지속될 전망이니, 앞으로 경기는 나빠지면 나빠졌지 좋아지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 약 25% 정도를 차지하며, 증시 상승에 큰 역할을 했던 반도체 산업이 추가적인 성장이 가능할까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즉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가 앞으로도 증시를 이끌어나갈 수 있을까 하는 의견인데요. 이에 대해 아직 의견이 분분하지만, 현재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모두 주가가 올해 들어 많이 빠진 것으로 보아 시장 의견은 부정적인 듯 합니다. 기존에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 주요 반도체 생산자인 두 업체가 가격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고 해도 중국 업체들이 새로이 생겨나게 된다면 그 지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까 의문인 상황입니다. 기술 격차가 5~10년 정도 나기에 쉽게 그 지위를 내주지는 않을 것이나, 대중화된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를 생산할 수준의 기술까지는 빠른 시간 안에 따라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시장의 전망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북한 관련 이슈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몇 년, 빠르면 몇 개월 안에 북한 문제만 해결되면 한국 증시가 활황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데. 이는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북한 문제의 핵심 이슈인 북핵 문제 해결은 미국과 북한과의 문제지, 우리나라가 어찌할 수 있는 바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트럼프가 적극적으로 나서야지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므로, 우리나라가 아무리 발버둥쳐도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이미 11월 중간 선거가 끝났으며, 당분간 트럼프가 북한 카드를 사용할 만한 정치 이슈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지위에 위협적인 정치 이슈가 등장한다면 다시 북한 카드를 활용할 측면이 있으나, 당분간은 그럴만한 유인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북핵 문제의 해결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시 말해, 북한 문제 해결로 인한 국내 증시 상승은 요원한 일입니다.



앞서 보았듯 국제 상황, 국내 상황 모두 국내 증시에 긍정적이지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투자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한국의 PER는 국제 수준과 비교했을 때 확실히 낮습니다. 동종 업계를 비교해보아도 많은 차이가 납니다. 때문에 한국 기업들 중에 매력적인 주식은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는 수요가 있어야 상승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살펴 보았듯 한국 경제, 증시는 앞으로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외국인 투자자들 역시 한국에 투자를 조심하려하겠죠. 때문에 좋은 주식(내재가치 > 주가)을 찾더라도, 주가가 금방 오르기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에 좋은 주식을 찾게 된다면, 장기간의 안목을 가지고 투자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친구들끼리 농담반 진담반으로 나누는 이야기가 ‘자유한국당’은 젊은이에게 ‘블루 오션’이라는 것이다. 유시민 작가가 말했듯 ‘이념형 우파 정당’인 자유한국당을 지지하는 젊은이들은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오히려 젊은 피로서 자유한국당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낸다면 청년 비대위장이라든가 직함 하나 내어주지 않을까 라는 역설적인 의미에서 ‘블루 오션’이다.

필자가 진보적인 성향인가 하면 딱히 그렇지는 않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이며, 정의당의 여러 정책이 급진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스스로를 나름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정치, 경제 이슈에 대해 또래에 비해서는 관심있는 편이라 여긴다.

이러한 필자가 보기에 자유한국당은 젊은 유권자들에게 아무 매력이 없는 정당이다. 아직 뚜렷한 정치적 성향을 굳히지 않은 젊은 학생들은 나름 정당의 정책, 국회에서의 모습 등을 통해 지지할 정당을 판단하려고 한다. 나름 합리적으로 생각하려고 하는 것이다.

지금의 자한당은 아직 과거의 적폐를 청산하지 못했으며, 당의 부동 지지층에게 호소하는 모양새만 취하고 있다. 보수를 지지하는 젊은 유권자들은 우파 스펙트럼 중에서도 중도에 가까울텐데, 자한당은 이러한 중도 보수의 매력을 사로잡을 만한 액션을 취하지 않으니,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없을 수밖에 없다.

현재 20대 젊은이들은 과거 진보 정권 시기에는 너무 어렸고, 자신이 스스로 주관을 세워나갈 시기에 보수 정권 하에서 자랐다. 때문에 현재 젊은이들은 그들에게 불리한 여러 여건들(경제, 복지, 부동산 가격)이 보수 정권이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고, 심화시켰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물론 맞는 측면도 있고, 아닌 측면도 있지만, 아무래도 주요 책임은 보수 정권에 기인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기본적으로 보수에 대해서는 우호적이지 못한 시각을 지니고 있으며, 박근혜 정권 때 극에 달한 부패로 인해 ‘보수=수구, 부패, 비합리’ 와 같이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인적 쇄신, 정책적 쇄신은 요원하며, 국회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는 자한당에게 마음 가는 젊은이가 적은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바른 미래당’은 어떠한가. 의외로 젊은이들 중에 진보적인 것을 꺼려하는 사람도 많다. 젊은이들은 사고가 성숙하지 못한 경우가 많고, 쉽게 어떤 이념에 경도되기 쉽다. 때문에 대학 갓 입학한 저학년 학생들 중에는 극단적인 좌파적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들의 신념은 때때로 무조건적이어서 시장 체제에 대한 완전한 부정까지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극단적 성향의 젊은이들에게 반감을 느껴 반진보, 반좌파적인 성향을 갖게 된 젊은이들도 꽤나 많다. 하지만 이들이 무조건적인 우파는 아니며, 사안에 대해 합리적으로 판단하려는 보수 성향을 지닌다.

그들에게 있어 자유한국당은 선택지에서 제외된 정당이기에 현재 유일한 대안은 ‘바른미래당’밖에 없다. 하지만 썩 만족스러울 만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태생부터가 문제다. 중도 보수를 표방하는 ‘바른 정당’과 호남 기반 정당인 ‘국민의당’이 합친 것이기에 정체성이 불확실해보인다. 보수적으로만 나간다면 호남 표를 잃을 것이고, 그렇다고 진보적인 성향을 띈다면 보수 유권자들이 외면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정당의 융합이 생존을 위해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하더라도, 유권자들에게는 바미당의 탄생 자체가 실망스러운 것일 수밖에 없다.

한편, 현재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이 여러 부작용을 낳고 있는 것이 드러나게 되면서, 젊은이들 역시 경제는 진보 측에 맡겨서는 안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외교는 기존 그대로 청와대가 수행하고, 경제 정책을 ‘유승민’의원과 같이 합리적인 보수 인물이 맡는다면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아무튼 이처럼 ‘경제’ 측면에서는 합리적인 보수 진영에서 잘 운영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기에 이러한 이유로 ‘바미당’을 지지하는 젊은이가 꽤나 있다.

하지만, ‘안보’, ‘외교’ 측면에서는 바미당에게 실망하게 된다. 기존의 보수 진영 주장을 반복할 뿐이고, 자한당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6.25와 멀리 떨어져 있는 젊은 세대에게 무조건적인 반공은 호소력이 없다. 젊은이들 중 다수는 통일을 기대하거나 바라지는 않지만, 북한과의 교류 증대, 군사적 긴장 완화 등을 통한 한반도의 평화 정착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청와대의 대북 정책에 비판으로 일관하는 바미당의 모습은 젊은 유권자들에게 아쉬움을 남기게 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몹시 주관적으로 쓰였지만, 젊은 유권자들이 바라보는 보수 정당은 이러하다. 총선도 이제 얼마 남지 않았는데, 그전까지 얼마나 보수정당이 탈바꿈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대부분의 정치학자, 언론인들이 예상하듯 바미당과 자한당이 총선을 앞두고 합치지 않을까 생각되긴 한다. 지방선거에서 참패를 겪은 두 정당으로서는 총선 전 까지 눈에 띌만한 지지율의 성장세를 이루지 못하는 이상 똑같은 결과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지지할 만한 멋진 보수 집단이 나타났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