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2년 12월 4박 5일 동안 나고야 여행을 다녀왔다!

나고야에는 관광지가 그다지 많지 않은데, 그중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것 중 하나가 ‘나고야항 수족관’이다!

지도 및 노선도에 보라색으로 표시되어있는 ‘메이코선의’ 나고야코(나고야항) 역에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가면 나고야항 수족관이 보인다.

메이코선의 나고야코역
메이코선 노선도

(왼쪽 하단에 위치한 노선이 메이코선이고, 종착역이 나고야항역이라 대중교통 이용이 어렵지 않다)

한화/롯데 등 이전에 방문했던 국내 아쿠아리움과 비교해볼 때, 나고야항 수족관은 무척!! 만족스러웠다.

가격도 저렴하고, 볼 수 있는 바다 동물도 훨씬 많은 느낌이었다.

특히 나고야항 수족관은 돌고래 특화된 수족관인 듯 했는데, 벨루가, 범고래, 돌고래 등 다양한 종류의 돌고래?들이 있었고, 그 수 또한 많았다.

(한편으로는 바다에 비해 한없이 비좁은 수족관에 갇혀있는 돌고래들을 생각하면 안쓰럽기도 했다..)

또한 한국에서는 볼 수 없는 돌고래쇼도 관람할 수 있어 좋았다.

돌고래쇼 시간표는 아래와 같다.

돌고래쇼 시간표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영문 시간표도 확인할 수 있다.

돌고래쇼는 15-20분 정도 진행되는데, 야외 공연장이어서 겨울에는 좀 추웠다 ㅠㅜ

파란 물 속을 헤엄치는 돌고래를 보고있으면 마음이 편해지고, 기분이 좋아진다.

고민이 많거나, 지칠 때 오면 힐링할 수 있을 것 같다.

 

돌고래뿐 아니라 펭귄, 바다거북 등 다양한 바다 동물들도 존재한다.

다음번에 또 방문하고 싶고, 나고야에 여행오면 꼭 추천하는 장소이다.

끝!

(이하 돌고래 및 동물 영상)

 

 

728x90
반응형
반응형

23년 2월 CFA level 3 CBT 시험을 치르고 왔다.

시험을 치른 장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303(논현동) TGL경복빌딩 4F 402호'에 위치한 SRTC.

출처: SRTC

CFA level 3 CBT 시험은 오전 2시간 12분/ 쉬는시간 30분/ 오후 2시간 12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중간 쉬는시간 30분을 쉬는 것은 자기 마음이다. 5분만 쉬고 응시해도 된다.

쉬는시간 동안에는 밖에 돌아다녀도 되서, 오전 시험을 마치고 초콜릿 먹고 산책 좀 하고 오후 시험에 다시 응시했다.

 

봉은사로 SRTC에서는 CFA level 3 CBT에 종이 2장과 연필 2자루를 지급한다. 보드마카와 판넬? 같은 것을 지급했던 다른 시험장에 비해서는 문제풀기 수월한 편이라 볼 수 있다.

 

시험장 내부에 특이사항은 없고, 휴식할만한 공간은 충분히 있어서, 쉬는 시간에 알아서 빈 공간 찾아 쉬면 될 듯 하다.

 

CFA level 3 CBT의 난이도는 soso한 편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essay가 시간을 많이 잡아먹으니, 시간 안배를 좀더 잘했으면 좋았었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있다. 오후 시험에는 오전 시험 대비 시간 안배를 잘해서 잘 풀었다는 느낌이 있었다.

 

CFA level 3의 커트라인(Minimum Passing Score)은 60% 수준이라고 한다. essay 문제가 있어서 그런지 level1,2 대비 낮은 편이다.

시험으로부터 2개월 정도 후인 4월 중순 이후에 성적이 나온다고 하는데,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

이제 이별하자 CFA야~~

 

끝.

728x90
반응형
반응형

최근 아래와 같은 종합상사 관련 기사를 보았다.

종합상사가 재도약을 위해 새로이 변화를 꾀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3080042390340109285

 

'꿈의 직장' 종합상사의 재도약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종합상사라 하면 사실 무엇을 하는 곳인지 사람들이 모르는 경우가 많고, 안다고 하더라도 드라마 '미생'에서 다뤄지듯 무역업을 하는 정도로 생각한다.

필자는 '19년 취업 준비 당시, 국내 종합상사 중 2곳에 지원하여, 포스코인터내셔널과 LG상사(현 LX인터내셔널) 1차 면접까지 합격한 바 있다.

(LG상사는 최종면접에서 탈락했고, 포스코인터는 이미 다른 회사에 합격한 상황이었기에 다른 지원자의 기회를 박탈하지 않기 위해 최종면접에 응시하지 않았다)

종합상사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무역(트레이딩)'부문이다. 제품의 공급자와 수요자를 매칭시켜주고, 제품의 운송 등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간에서 마진을 취하는 것이 전통적인 종합상사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전에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이 쉽지 않았고, 언어적 장벽/현지 네트워크 구축 등에 어려움을 느끼는 기업들이 많았기에, 종합상사의 역할이 부각되었으나, 오늘날 대기업의 해외 진출이 보편화되어있고, 해외영업팀이 내재화되어있기에 종합상사의 가치는 이전 대비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무역(트레이딩) 부문의 마진율은 과거 대비 큰폭으로 줄어든 상황이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2010년 이후 국내 종합상사들은 적극적으로 투자/신사업 부문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1990년도 후반부터 트레이딩 외적으로 사업 부문을 확대해나갔던 일본 종합상사들의 선례를 따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 종합상사들은 기업 인수 및 투자 등을 통해 자원, 편의점, 의약품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했으며, 국내 종합상사가 나아가야할 방향 등을 공부하는 데 있어 일본 종합상사는 좋은 귀감이 된다.

국내 종합상사들은 주로 자원, 식량, 에너지 등의 영역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해나가고 있으며, 이미 전통 비즈니스 모델인 무역(트레이딩) 외의 영역에서 매출 및 이익을 실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포스코인터의 경우 아직 무역 부문의 매출이 전체 매출액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이익단에서는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하이다.

출처: 포스코인터내셔널
출처: DART

요컨대, 오늘날 종합상사는 '종합투자회사'로 변모해있다.

이러한 종합상사의 변화를 바탕으로 판단해볼 때, 종합상사 지원자에게 요구되는/가치있게 평가되는 역량은 무엇일까?

나는 '금융/투자'에 대한 이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이 내가 국내 종합상사에 지원했을 당시 유리하게 작용했던 것 같다.

종합상사 취업을 준비하며 느꼈던 것 중 하나가 '외국어 잘하는 애들만 지원하네'였다.

사실 종합상사라는 회사가 있는지 잘 모르는 대학생이 태반일 것이고, 외국어 잘해야만 취업할 수 있다라는 선입견이 있기에 종합상사 지원자 중 대부분이 국제학부/경영학과인 듯하다. 지원자 중 상당수가 선배나 주위 사람들로부터 종합상사에 대한 얘기를 들을 기회가 있던? 혹은 드라마 '미생'을 보았던? 사람들이 아니었을까 추측한다.

나는 해외 유학 경험이 없는 토종 한국인이어서, 해외에 오랫동안 살다온 지원자들만큼 외국어를 잘하지 못했다. 종합상사의 경우 제2외국어도 필수인데, 제2외국어의 경우에는 다른 지원자들보다 더더욱 못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Top tier 종합상사의 서류/1차면접(극악무도한!)을 통과할 수 있던 이유는 다른 지원자들에게는 없던 '금융/투자' 스펙이 있었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ex. 경제학 복수전공, 금융자격증 취득, 금융회사 인턴 등)

(물론 외국어를 지원 미달 수준으로 못했던 건 아니다. OPIC AL, HSK 5급이었다.)

따라서 종합상사에 대해 관심이 있는, 취업하고 싶은 지원자의 경우 '금융/투자' 관련 공부를 하고, 스펙을 쌓기를 추천한다. 앞서 말했듯 오늘날의 종합상사는 '종합투자회사'이기에.

반대로 종합상사라는 규모가 크고 해외 투자를 위주로 하는 '대기업 투자회사'가 존재함에도, 대부분의 경영/경제학과 학생들은 뭐하는 곳인지 모른다. 주위에 취업한 사람도 없고, 관심을 가질 기회가 없어서 그럴 것이다. 금융 특히 해외 투자 관련해 관심이 있는 지원자에게 국내 종합상사는 여의도/을지로 등에 위치한 국내 금융회사와 더불어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으니, 관심을 기울여보면 좋을 듯 하다.(단, 외국어 공부는 열심히 해야한다!)

끝.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