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은행 한도계좌, 고객을 무시하는 이 정책! 정말 화가 납니다.
오늘 우리은행 입출금계좌를 사용하다가 진짜 분노를 금할 수 없는 일을 겪었습니다. 제 계좌가 한도계좌로 묶여 있어서 해제를 요청했는데, 황당하게도 예적금 가입이나 펀드 투자 같은 용도로는 해제가 불가능하다고 하더군요.
더 충격적인 건, 한도계좌 상태에서는 온라인으로 하루에 겨우 100만 원밖에 인출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은행창구에 직접 가도 겨우 300만원 인출이 다입니다. 내 돈인데 왜 내가 마음대로 못 쓰는 겁니까?
소득이 있는 사람이고, 증빙할 자료도 있는데 급여이체, 연금이체, 대출 등 몇개의 목적 외에는 한도계좌에서 해제해줄 수 없다네요. 예적금, 펀드 가입 고객은 고객도 아닌가요? 아니, 도대체 무슨 권리로 은행이 내 돈 사용을 이렇게 제한하나요?
우리은행, 이건 정말 고객을 무시하는 처사 아닙니까? 보안 핑계는 대지 마세요. 정작 내가 내 돈을 쓰려는데도 제한을 두는 건, 고객 편의는 안중에도 없다는 걸 보여주는 겁니다. 예적금 가입이나 펀드 투자 중이더라도, 최소한 고객이 한도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은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은행이 이래도 되는 겁니까? 고객은 돈 맡기면서 불편만 감수해야 하는 존재인가요?
우리은행의 이 어이없는 정책, 반드시 개선되어야 합니다!
혹시 같은 문제를 겪으신 분들, 목소리를 모아주세요. 우리은행, 고객을 이렇게 불편하게 만들면서까지 운영을 해야 합니까? 정말 분노를 넘어 실망스럽습니다.
728x90
반응형
'Investment. Tech. & Economy > 기타 금융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선택! 주택연금이란? (0) | 2025.03.16 |
---|---|
파이코인(Pi Coin), 기회인가? 리스크인가? (0) | 2025.02.22 |
중고차 구매 시 현금결제 소득공제, 완벽 가이드 (0) | 2025.01.04 |
자산 건전성 분류 기준 -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0) | 2024.12.07 |
국내 저축은행 건전성/수익성 지표('24년 6월 기준) - BIS비율/고정이하여신비율/ROA/SBI저축은행/OK저축은행/한국투자저축은행/웰컴저축은행 (1)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