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신세계 그룹이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신세계 그룹의 '이마트' 법인이 약 3.4조원을 들여 이베이코리아 지분 80%를 인수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107010741122096

 

이마트, 이베이코리아 지분 80.01% 쥐었다···콜옵션도 달아

이마트가 이베이코리아 유한책임회사 지분 80.01%를 3조4404억3000만원에 인수했다. /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신세계그룹 이마트가 지난달 30일 G마켓·옥션 운영사 이베이코리아 지분 약 80.01%를

www.fnnews.com

이로써 신세계 그룹의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이베이코리아+SSG.COM)은 업계 2위로 올라서게 된다.

출처: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너무 비싸게 샀다, 승자의 독배이다,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등 부정적인 코멘트와 '오프라인 채널을 보유한 신세계그룹이 온라인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와 같은 긍정적인 코멘트가 혼재한 상황이다.

신세계그룹은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통해 SSG.COM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쇼핑몰 및 기타 온라인 사업을 확장을 할 것이다. 향후 온라인 확장이 어떤식으로 진행되는가에 따라 이번 인수에 대한 평이 갈릴 것이다.

이번 딜에서 재밌는 점은 바로 '신세계' 법인은 이번 인수에 돈은 하나 안들이면서 과실은 챙길 수 있다는 점이었다.

아래와 같은 기사를 보면 마치 신세계 법인이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한 것 같이 제목이 뽑혀있다.

신세계(그룹)을 지칭하고자 한 걸 수도 있는데, 이처럼 독자로 하여금 헷갈리게 기재된 기사들이 많다.

http://news.bizwatch.co.kr/article/consumer/2021/07/01/0023

 

신세계, '유통 맹주'·'승자의 저주' 어디로 갈까

신세계가 이베이코리아의 새 주인이 됐다. 이제 신세계는 약점으로 꼽혔던 온라인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할 수 있게 됐다. 이커머스 시장도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신세계로서는 기회를 잡은

news.bizwatch.co.kr

하지만, 아래와 같이 Dart에 공시된대로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한 주체는 신세계 법인이 아닌 이마트 법인이다.

이번 인수의 과실은 SSG.COM의 향후 매출 및 이익에 반영이 될 터인데, SSG.COM의 지분은 또 신세계 법인과 이마트 법인이 나눠가지고 있다. 물론 이마트가 지분이 많긴 하다.

요컨대, 신세계 법인은 이번 이베이코리아 인수에서 돈 한푼 안들이면서, 그 과실은 챙겨먹을 수 있다.

향후 시너지가 기대되긴 하는데 값어치만큼은 못할 게 우려된다면, '이마트'보다 '신세계' 주식을 사는 것이 낫겠다.

신세계는 백화점 및 시내 면세점 매출은 회복한 상태이고, 코로나 회복으로 공항 면세점까지 부활해준다면 추가적인 이익 상승이 기대된다. 여기다 이번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통해 SSG.COM이 크게 성장해준다면 더욱 좋은 상황이 아닐까 싶다.

 

참고로 기사는 못 믿을 부분이 많으니 Dart에 들어가서 직접 거래에 대한 사실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투자 판단에 있어 큰 도움이 된다.

 

※ 상기 글에는 제한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한 주관적인 판단이 담겨 있으므로, 오류가 있거나 간과한 부분이 있으면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끝.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