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Tech. & Economy/투자. Investment

크루즈 업체 CCL(Carnival Corp.)의 재무상황을 점검해보자! - 경기회복주 CCL

밤톨이@@ 2021. 2. 28. 23:34
반응형

작년 11월 코로나 백신의 보급된 이후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와 관련한 주식들이 빠르게 상승했다.

항공, 여행 관련 주식들 중에는 이미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경우가 많다.

이중에서 최근 반등을 보인 바 있지만, 아직 코로나 이전시기까지의 주가 수준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한참 남은 기업이 있는데, 바로 Carnival Corp.&Plc.(티커:CCL)이다.

CCL은 세계 1위 크루즈 업체로서, 약 42%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코로나 이전 50불 수준이던 CCL의 주가는 코로나 이후 10불대로 떨어졌고 아직 20불대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CCL 주가 차트

CCL은 코로나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업체 중에 하나이며, 크루즈 업종의 특성상 선박 리스료 등과 같이 고정적으로 지출해야되는 비용이 크다.

이 때문에 영업이 정상화되기 전까지 이 회사가 자금을 조달해 운영비를 충당할 수 있는가(=현금 떨어져서 파산하지는 않는가)가 중요한 포인트라 볼 수 있겠다.

기업에서 제시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CCL의 재무 건전성을 파악해보겠다.

기업의 가이던스 및 10-K(연례보고서)를 참고했다.

https://www.carnivalcorp.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carnival-corporation-plc-provides-preliminary-financial

 

Carnival Corporation & plc Provides Preliminary Financial Information For The Fourth Quarter | Carnival Corporation & plc

MIAMI , Jan. 11, 2021 /PRNewswire/ --  Carnival Corporation & plc (NYSE/LSE: CCL; NYSE: CUK) provides preliminary financial information for the fourth quarter ended November 30, 2020 . U.S. GAAP net loss of $2.2 billion and adjusted net loss of $1.9 billi

www.carnivalcorp.com

Since March, the company has raised $19 billion through a series of transactions, including the following transactions since August 31, 2020:

코로나 터진 이후 CCL은 약 20조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부채+자본)했다고 한다.

As of November 30, 2020, the company has a total of $9.5 billion of cash and cash equivalents. During fiscal 2021, the company expects to enter into financial transactions to optimize its capital structure which may include opportunistically enhancing liquidity.

20년 11월 30일 기준으로는 현금으로 약 10조 있다고 한다. 10-K에 따르면 20년 연말 기준으로는 이보다 조금 늘어난 상태이다.

The company expects the monthly average cash burn rate for the first quarter 2021 to be approximately $600 million.

21년 월간 cash burn 은 약 6,500억원 정도 예상된다.

CCL의 10-K 현금흐름표

CCL이 현재 보유한 현금을 21년 월간 예상 소요금액으로 나눠보면

USD 9.6B/0.6B = 16 개월 정도 수익을 내지 않고 버틸 수 있다.

추가적인 자금 조달 및 지출 감소, 공적자금의 지원 등을 이끌어낼 수 있다면 22년 상반기까지는 버틸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이자보상비율 하한선 등 채권 관련 의무 조항(Covenant)들에 대해서는 채권자들의 동의를 바탕으로 testing date를 2022년으로 미뤘다.

Many of our debt agreements contain one or more financial covenants that require us to:

• Maintain minimum debt service coverage (EBITDA to consolidated net interest charges for the most recently ended four fiscal quarters) of not less than 3.0 to 1.0 at the end of each fiscal quarter (the “Financial Covenant”)

• Maintain minimum shareholders’ equity of $5.0 billion

• Limit our debt to capital percentage to 65% at the end of each fiscal quarter (the “Debt to Capital Covenant”)

• Limit the amounts of our secured assets as well as secured and other indebtedness

As of November 30, 2020, we had entered into supplemental agreements to amend our agreements with respect to the Financial Covenant to:

• Waive compliance for all of our export credit facilities through November 30, 2021 or December 31, 2021, as applicable, with aggregate

indebtedness of $7.3 billion as of November 30, 2020. We will be required to comply beginning with the next testing date of February 28, 2022.

• Waive compliance through November 30, 2021 for certain of our bank loans with aggregate indebtedness of $2.1 billion as of November 30, 2020.

The amendments were subsequently extended through November 30, 2022, with the applicable covenant threshold reduced beginning from the

February 28, 2023 testing date before reverting to 3.0 to 1.0 from the February 28, 2024 testing date onwards.

• Waive compliance for the remaining applicable bank loans with aggregate indebtedness of $479 million as of November 30, 2020, through their

respective maturity dates.

At November 30, 2020, we were in compliance with the applicable debt covenants.

CCL은 코로나로 인해 수익이 박살난 상태이기에 Covenant에서 요구하는 재무 요건들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는 Covenant에 따른 penalty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인 것이므로, testing date(Covenant를 회사가 충족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시점)의 연기는 다행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코로나로 타격을 입은 대부분의 기업들이 이와 같은 상황이고, 채무자들도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 covenant 유예는 코시국에 흔하긴 하다.

요컨대, CCL의 재무 상황은 2021년까지는 코로나 상황 하에서 영업을 못한다고 하더라도 버틸 수 있는 수준이다. 때문에 2022년 상반기부터 정상적으로 영업을 할 수 있다면 주가 수준도 원상복귀할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 백신이 생각보다 효능이 떨어진다거나, 보급이 늦어진다거나, 혹은 강력한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한다거나 해서 코로나 극복 시기가 2022년보다 늦춰지게 된다면 파산 절차를 밟게 되지 않을까 싶다.

CCL의 경영진은 백신의 빠른 보급만 손꼽아 기다리고 있겠다.

최근 FDA의 JNJ 백신 긴급승인이 떨어지면서 백신 보급 속도가 빨라질 것이 예상되는데, CCL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뉴스일 것이다.

https://www.fda.gov/news-events/press-announcements/fda-issues-emergency-use-authorization-third-covid-19-vaccine

 

FDA Issues Emergency Use Authorization for Third COVID-19 Vaccine

The FDA issued an EUA for the Janssen COVID-19 Vaccine, allowing the vaccine to be distributed in the U.S for use in individuals 18 years of age and older.

www.fda.gov

+ 나도 크루즈 타고 해외여행가고싶다..

끝.

[원문] blog.naver.com/hahehi456

 

밤장의 지식창고 : 네이버 블로그

투자, 경제, 여행, 문학 등과 관련한 정보와 생각을 공유하는 곳입니다.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