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도 주식시장 상반기 결산, 하반기 전망 - 2편
안녕하세요 밤장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18년도 상반기 주식시장을 정리해보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하반기 주식시장에 대한 전망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인 의견과 더불어 언론을 통해 알려진 전문가들의 의견도 같이 제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주식시장이 연말까지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금리 인상과 더불어 트럼프發 미중 무역전쟁 때문인데요. 이 두가지 이슈는 18년도 상반기에도 주식시장을 괴롭혔지만, 하반기에도 역시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금리 인상의 경우에 하반기에 남은 4번의 FOMC 회의에서 최대 두번 정도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기에 시장이 주의깊게 바라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리 인상이란 것이 오래 전부터 예상되어왔던 이슈이고, 미국 연준이 시장과 충분히 소통하며 금리 인상을 하고 있다고는 하나 전세계 금융 시장에 큰 여파를 몰고 온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사실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아직 신흥국으로 분류되는 국가 중에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금리가 역전되는(미국 금리가 대상 국가의 금리보다 더 높은) 현상이 벌어지는 경우에는 그 국가에 투자되어있던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어 경제에 타격이 올 수가 있죠. 완전한 신흥국의 경우에는 두말할 것도 없겠고요.
하지만 이것보다 큰 악재가 될만한 이슈는 트럼프發 무역전쟁입니다. 몇번의 포스팅에서도 주지했듯이 미국의 상, 하원을 뽑는 11월 중간선거까지 트럼프는 중국과 관세를 가지고 힘겨루기를 할텐데요. 11월 중간선거는 4년 연임의 대통령제를 취하고 있는 미국에서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분기점이 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그때까지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트럼프의 미국이 무역 협상에서 중국을 압도하고 있다는 듯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려고 할 것입니다. 6월 중순에 볼 수 있었듯 한반도 정세가 북미 회담에 이어 순풍이 불고 있다 하더라도, 세계 증시를 주도하는 미국 증시와 커플링이 되어있는 이상, 세계적인 악재를 버텨내고 독자적으로 강세를 보일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중국에 중간재 수출하는 비중이 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다른 나라보다도 미중 무역전쟁의 악영향을 더 크게 실감하고 있죠.
요컨데,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금리인상과 미중 무역전쟁 이슈가 하반기에도 지속, 심화될 것이기에 주식시장이 크게 꽃을 피운다거나 하기는 힘들 것이라 생각됩니다. 투자 사이클을 보더라도 풀린 유동성을 바탕으로 주가가 오르는 시기는 이미 지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추가적인 주가 상승이 있을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존재할 것이지만, 유동성 장세가 끝났다는 것은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공감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하반기에는 소극적인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증권주와 같이 주식시장이 활황일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주식은 자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하고, 아예 장기간으로 바라보고 투자할 만한 기술주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하지만 아직 주식시장의 끝물에 와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버블이 버블로 드러나기 전까지는 열광적인 투자가 동반되어야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주식시장에 투자하기 좋은 타이밍이다. 지금이 기회다 하는 등의 이야기는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가상화폐(=암호화폐) 열풍과 이어진 폭락으로 인해서 사람들이 투자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더불어 현재 IT주의 가격이 지나치게 올랐기에 거품 위험이 있다고 하지만, 과거와는 다르게 탄탄한 실적을 기반한 경우가 많아서 주가가 기업의 적정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도 생각됩니다.
지금까지 제 개인적인 의견이었고요 다른 전문가들은 어떠한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통계 자료에 따라 긍정적인 전망도 제시되고, 부정적인 전망도 제시됩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서도 제시되듯 세계 경제는 상반기 동안 양호한 성장세를 보여왔습니다. 다만 트럼프發 무역전쟁이 두드러져서 세계 경제가 전반적으로 불안한 모습으로 비춰졌을 따름입니다. 다음 표는 한국은행의 자료를 재인용한 것인데요,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도 최근에 다시 조정받기는 했지만 성장세가 꺾였다고 보기에는 양호한 상태이며, 글로벌 PMI (구매관리자지수, 50을 기준으로 넘으면 양호) 역시 상반기 동안 54 근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100을 기준으로 경기 국면이 성장세인가, 하락세인가 판단하는 OECD 선행지수는 18년도 초반의 몇달 간을 제외하고는 100을 상회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한편 부정적인 전망 역시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통계로는 美 장단기 국채 금리차가 11년 내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채권 보유 기간이 길수록 리스크가 커지기 때문에 금리 역시 장기채가 단기채보다 높게 받습니다. 하지만 미래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게 되면 장기금리가 점점 낮아지게 되어서 장단기 금리차가 줄어들게 됩니다. 미래에 경기가 안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면 지금 수준의 장기국채금리가 괜찮은 것이라 생각하고 수요가 늘어 또다시 국채 가격 상승에 따라 금리가 하락하게 됩니다. 또한 경기가 안좋아지게 되면 기준금리를 다시 낮출 것이라는 예상 역시 하게 되기에 지금 수준의 금리를 상대적으로 높다고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죠. 18년 7월 기준 국채금리는 11년 내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고, 앞으로도 더 줄어들어 차후에 장단기 금리 역전까지 가능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